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864. 3. 4, 아일랜드 코크 찰러빌 |
---|---|
사망 | 1963. 11. 6,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
국적 | 오스트레일리아 |
요약 로마 가톨릭교회의 고위성직자.
20세기 초반 오스트레일리아 정계에서 물의를 일으켰다. 킬데어 군 메이누스의 세인트패트릭 칼리지에서 수학한 뒤 1890년 사제서품을 받았다. 이어 모교에서 철학(1891)과 신학(1894)을 가르쳤으며 1903~12년 학장을 지냈다.
1912년 파세일러스의 명의대주교로 발령받았다가 이듬해 멜버른 대주교의 보좌사제로 임명되었고 1917년 대주교에 올랐다. 대주교로서 정부가 가톨릭 교육사업을 후원해 줄 것을 요구하고 제1차 세계대전으로 인한 징병에 반대함으로써 일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아일랜드 독립의 후원자였던 매닉스는 1922년 미국을 경유하여 교황청을 공식 방문했고 감동적인 연설로 열광적인 반응을 얻었다. 1925년 대주교는 영국 정부의 끈질긴 방해에도 불구하고 마침내 조국을 방문할 수 있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매닉스는 공산주의자가 노동조합에 침투하는 것을 저지하는 데 힘썼으며 노동당으로부터 우파 가톨릭 민주노동당을 출범시켰다. 그전에 매닉스는 노동당 내분사태의 배후인물로 지목되기도 했다. 대주교는 평신도 사도단체인 '가톨릭 행동과 가톨릭 사회운동'의 지도자로서 멜버른대학교 뉴먼 칼리지와 세인트메리 칼리지를 비롯한 181개 학교와 108개에 이르는 신교구를 설치했다. 1948년 F. 머피가 쓴 전기물 〈다니엘 매닉스, 멜버른 대주교 Daniel Mannix, Archbishop of Melbourne〉가 나왔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