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인체의 여러 부분에서 특정 물질들을 흡수하는 세포들.
대식세포계(大食細胞系)·단핵식세포계(單核食細胞系)라고도 함.
이 세포들은 인체방어 메커니즘의 일부를 이룬다.
망상내피세포는 식세포로서 세균, 바이러스, 그외의 다른 이물질들을 삼키고 파괴하며 늙거나 비정상적인 체세포를 섭취하기도 한다. 망상내피세포는 골수에 있는 전구세포(前驅細胞)로부터 만들어진다. 전구세포는 혈류로 방출되는 식세포인 단핵구(單核球)로 발달되는데, 일부 단핵구는 순환계에 남지만 대부분은 체조직으로 들어가서 대식세포(macrophage)라고 하는 훨씬 더 큰 식세포가 된다.
대식세포 대다수는 움직이지 않는 세포로 조직 안에 남아서, 이물질을 걸러 파괴시킨다. 그러나 일부는 떨어져 나와 순환계나 세포사이공간[細胞間隙] 안에서 떠돌아다닌다.
조직 내의 대식세포는 그 세포가 위치한 곳에 따라 모양과 이름이 다르다. 망상세포는 림프 절동과 비장, 골수에 있는 반면, 조직구(組織球)는 피하조직에서 많이 발견된다. 신경소교세포(神經小膠細胞 microglia)는 신경조직에, 폐포대식세포(alveolar macrophage)는 폐의 폐포에, 쿠퍼세포는 간에서 나타난다.
하나의 망상내피세포가 미생물들이나 세포, 심지어는 조그만 뼈조각이나 봉합물질 같은 이물질 조각도 먹어 치울 수 있다. 또한 몇 개의 운동성 대식세포가 융합하여 큰 이물질을 둘러싸는 하나의 식세포로 변화될 수도 있다. 식세포작용을 통해 대식세포는 인체 내부에 들어온 해로운 입자들에 대한 첫 방어선을 형성한다. 망상내피세포는 또한 면역반응을 통해서도 방어기능을 하는데, 면역반응은 특정한 이물질을 목표로 해 일어나는 복잡한 일련의 반응으로 림프구라는 백혈구가 지휘한다(혈액). 한 종류의 림프구(B세포)는 다른 종류의 림프구(T세포)의 도움을 받아 항체를 합성하고 분비할 수 있다.
T세포는 또한 항체를 만들지 않는 다른 면역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대식세포는 면역반응에 필수적인 요소로서, 대식세포의 식세포작용이 이물질의 표면분자(항원)를 표출시켜 림프구 반응을 자극하고 항체의 형성은 다시 대식세포의 식작용을 크게 자극한다. 망상내피세포의 또다른 중요한 기능은 늙거나 비정상적인 세포와 조직을 파괴하는 것이다. 비장의 망상세포는 오래된 적혈구를 파괴하고 적혈구 내의 산소 운반 색소인 헤모글로빈을 재순환시키는 데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망상세포는 오래된 적혈구를 분해하고 헤모글로빈을 합성하여, 새로운 적혈구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색소인 혈철소(hemosiderin)를 만든다.
망상내피계와 관련된 질환으로는 망상세포가 적혈구를 과도하게 파괴시켜서 일어나는 빈혈이 있다. 이 질환으로 인해 비장을 제거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국부적으로 또는 몸 전체에 퍼지는, 망상내피계와 관련된 악성종양도 있다.
망상세포육종(reticulum cell sarcoma)은 이러한 종양 가운데 가장 흔한 것으로, 대개 림프절에 생긴다. 또다른 질환인 수삭성조직구성세망증(髓索性組織球性細網症 histiocytic medullary reticulosis)은 식세포가 분산되어 증식하기 때문에 생긴다. 니만피크병과 고셰병은 망상내피세포 안에 비정상적인 지방대사산물이 형성되는 유전질환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생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