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막수송

다른 표기 언어 membrane transport , 膜輸送

개요

원형질막의 화학구조는 막이 물질의 투과에 놀라울 정도의 융통성을 지니도록 특성을 부여하지만 여러 종류의 용매와 용질의 투과에 결정적 장애물이 되기도 한다.

지용성 물질과 크기가 작은 분자들은 막의 지질 2중층을 쉽게 통과할 수 있지만 큰 수용성 물질들과 전하를 띤 이온들은 막을 통과하지 못한다. 그러나 세포는 세포의 생존과 유지에 맞도록 수용성이며 큰 분자량을 지닌 당·아미노산·전하를 띤 이온들을 효과적으로 세포 안으로 유입시킬 수 있으며, 세포 내 대사과정중에 생긴 노폐물을 세포 밖으로 방출시킨다.

이와 같은 물질의 수송은 막에 있는 막단백질들 특히 내재단백질에 의해 이루어진다. 막에 있는 내재단백질들은 여러 형태의 수송계를 이룬다. 즉 세포 안으로 직접 이온들이 투과할 수 있도록 채널을 형성하거나, 용질들이 세포막의 지질 2중층을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촉진자'(促進子)로서 작용한다. 또한 세포막을 사이에 두고 에너지를 사용해 농도 기울기를 거슬러 물질을 수송하는 '펌프'를 형성한다.

투과

어떤 용액에 존재하는 물질이 확산에 의해 막을 통과하는 과정이다.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물질들의 투과율은 물질이 갖는 고유의 화학적 특성에 따라 매우 다르다. 단백질과 당 중합체는 거의 막을 투과하지 못하지만, 물·알코올 등은 쉽게 막을 투과한다. 이러한 차이는 막을 형성하고 있는 지질 2중층의 특성에 의한 것으로 물보다는 유기용매에 잘 녹는 특성을 지닌 물질들이 더 쉽게 막을 통과한다. 유기용매에 녹는 특성은 분배계수(partition coefficient)라고 하는 단위에 의해 측정된다.

즉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크면 클수록 높은 분배계수를 갖게 되고 분배계수가 클수록 막의 투과율은 커지게 된다. 예를 들면 히드록시기·카르복시기·아미노기 등과 같이 수용성이 큰 것들은 분배계수가 매우 낮아서 막을 투과하지 못하지만, 지용성의 메틸기, 탄화수소 고리는 높은 분배계수를 갖기 때문에 쉽게 막을 통과할 수 있다. 같은 분배계수를 갖는 물질들의 투과율은 그 물질들이 갖는 크기에 따라 달라져 크기가 작을수록 쉽게 막을 통과한다.

막 채널

세포막에 존재하는 내재단백질, 특히 막을 가로질러 존재하는 관통단백질에 의해 형성된다.

어떤 종류의 막 채널은 칼슘·아세틸콜린·글리신과 같은 신호물질들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막에 형성되는 막전위(膜電位)에 의해 막 채널의 형성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촉진확산

당이나 아미노산과 같은 물질은 수용성이어서 분배계수가 낮고 너무 커서 막 채널을 통과하지 못하며 몇몇 전하를 띤 이온들도 막을 통과하지 못한다.

이러한 물질들은 막에 존재하는 막수송 단백질(주로 막관통 단백질)에 의해 수송된다. 막 채널과는 달리 막수송 단백질은 단순히 막 개공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막의 안팎으로 노출되어 있는 단백질 부위가 수송할 물질과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물질을 수송한다. 이러한 수송에 관여하는 단백질은 수송할 물질과의 결합에 큰 특이성을 갖고 있어서 특정 수송 단백질은 특정 물질의 수송에만 관여한다.

이러한 형태의 물질수송은 확산의 형태인데, 물질의 수송방향은 자연확산의 경우에서처럼 고농도에서 저농도의 방향으로 물질의 수송이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에너지는 사용되지 않는다. 촉진확산에 의한 물질의 수송계로서 수송과 음 이온 수송이 있다. 당 수송계는 몇 가지 점에서 단순 막 채널과 다르다. 첫째, 막 채널에서의 물질의 이동속도는 막 채널을 통과하는 물질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지만 당 수송계에서는 수송할 당의 크기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둘째, 막 채널은 초당 100만 개의 물질을 수송하지만, 당 수송계는 이보다 훨씬 느려서 초당 1,000개 정도의 물질만을 수송할 수 있다.

막 채널과 당 수송계의 주요차이는 당의 수송과정에서 당 수송계를 이루는 단백질의 구조적 변형이라 할 수 있다. 즉 당 수송계를 형성하는 막단백질은 당과 결합하면 단백질의 구조가 변형되고 이 변형과 동시에 당을 수송하며 수송 후에는 원래의 구조로 환원된다.

음이온 수송계에 의한 촉진확산은 특히 혈구세포막의 음이온 교환에 관여한다. 혈구세포막에서 탄산수소 이온과 히드록시 이온은 동일한 막 수송단백질에 의해 각기 막의 반대 방향 및 농도를 낮추는 방향으로 동시에 수송된다. 이와 같은 이온 교환 방식으로 혈구세포는 조직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를 폐(肺)로 운반한다. 이러한 이온의 교환은 혈구세포의 막을 구성하는 주요단백질인 내재단백질에 의해 이루어지며 내재단백질은 세포 1개당 약 100만 개가 존재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생물

생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막수송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