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마투그로수

다른 표기 언어 Mato Grosso
요약 테이블
위치 브라질 중부
인구 3,035,122명 (2022년 추계)
면적 903.357.9㎢
언어 포르투갈어
대륙 남아메리카
국가 브라질

요약 브라질 내륙에 있는 주. 대중서부지역에 있다. 처음 정착한 사람은 상파울루 출신의 금광탐사자들이었고, 1719년 풍부한 사금광이 발견된 곳에 쿠이아바가 건설되면서 상파울루 사령관령의 한 지구가 되었으며 1748년 독립 사령관령이 되었다. 이후 1822년 브라질 제국의 군이 되었고, 1889년 연방의 주가 되었다. 20세기 초반 브라질의 탐험가 칸디두 마리아누 다 실바 론돈 장군이 이끈 탐험대가 마투그로수에 관해 처음으로 완전하고 정확한 자료를 밝혀냈다. 대부분의 지역은 브라질 고원의 서쪽 연장 부분에 있다.

대중서부지역(Grande Região Centro-Oeste)에 있다. 북서쪽으로는 론도니아 주와 아마조나스 주, 북동쪽으로 파라 주, 동쪽으로 토칸틴스 주와 고이아스 주, 남쪽으로 마투그로수두술 주, 남서쪽과 서쪽으로 볼리비아에 접해 있다. '거대한 숲'이라는 뜻을 가진 마투그로수 주는 세계에서도 얼마 남지 않은 미개척지 가운데 하나이다. 주도는 쿠이아바이다.

마투그로수 주에 처음 정착한 사람은 상파울루 출신의 금광탐사자들이었다. 이들은 1708년 금광채굴권을 놓고 벌어진 소위 엠보아바스(포르투갈의 식민지개척자들) 전쟁에서 미나스제라이스의 엠보아바스에게 져서 쫓겨온 사람들이었다.

1719년 풍부한 사금광이 발견된 곳에 쿠이아바가 건설되면서 마투그로수는 상파울루 사령관령의 한 지구가 되었으며 1748년 독립 사령관령이 되었다. 1761년 주도가 과포레 강 연안의 빌라벨라로 옮겨졌으나 1820년 쿠이아바로 복귀되었다. 식민지 기간과 광산이 거의 고갈될 때까지 이곳 사금광에서는 다량의 금과 약간의 다이아몬드가 나왔다. 광업이 쇠퇴한 후에는 목축이 주산업으로 떠올랐다.

마투그로수는 1822년 브라질 제국의 군(郡)이 되었고, 1889년 연방의 주가 되었다. 이 주는 고립되어 있고 바다로 가는 길이 없었던 탓으로 지역 전반에 걸친 성장 및 개발이 오랫동안 지체되었다. 1914년에 마투그로수 주 남부를 가로지르는 철도가 부설될 때까지 교통수단이라고는 육로의 오솔길을 제외하고는 3,000㎞ 남쪽의 대서양으로 흐르는 파라과이 강과 파라나 강뿐이었다. 20세기 후반에 들어서야 간선도로와 항공편에 의한 수송이 보급되기 시작했다.

20세기 초반 브라질의 탐험가 칸디두 마리아누 다 실바 론돈 장군이 이끈 탐험대가 마투그로수에 관해 처음으로 완전하고 정확한 자료를 밝혀냈다. 그러나 일부 지역은 20세기 후반까지도 사실상 전혀 조사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마투그로수 주의 대부분 지역은 브라질 고원의 서쪽 연장 부분에 있다. 이 고원을 가로질러 북쪽으로 아마존 강 유역과 남쪽으로 라플라타 강 유역을 가르는 분수령이 나 있다. 900m 정도 되는 이 높은 지대를 마투그로수 고원이라 부른다. 싱구·타파조스·마데이라 강이 흐르는 이 고원의 북쪽 사면은 아마존 강 유역으로 이어져 내려간다. 토칸틴스 강의 지류인 아라과이아 강 유역은 주의 동쪽 경계선을 이루고 있다.

남부지역에는 남서쪽의 파라과이 강으로 들어가는 수많은 시내가 남쪽으로 흐르고 있다. 북부지역에는 북쪽으로 아마존 강 지류들로 들어가는 수많은 하천이 흐른다. 거의 범람원인 서부지역은 브라질에서 제일 좋은 방목지에 속하며, 세계적으로도 손꼽히는 열대목초지 중 하나이다. 저지대는 고온다습하며, 고지대는 고온건조하다. 평균기온은 26℃이며, 연평균강우량은 1,300~1,500㎜이다. 5~9월은 뚜렷한 건기이다. 자연식생으로는 넓은 목초지와 삼림이 우거진 지역이 있고, 고원지대에서는 관목이 자라고 숲이 약간 있는 캄푸스라는 넓은 초원 등이 있다.

20세기에 이 주의 인구증가율은 매우 높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는 아직도 브라질 주 가운데 인구밀도가 가장 낮은 편이다. 인종으로 보면 내륙의 다른 주들도 그렇듯이 메스티소(유럽인과 인디언 사이 혼혈)의 비율이 높다. 주민은 대부분 촌민이며 도시는 카세레스, 룬두노풀리스, 주도인 쿠이아바를 제외하면 거의 없다. 새로 몰려온 거주자들은 농촌과 도시지역에 골고루 분포되어 농촌과 도시지역 인구가 똑같이 늘어났다.

사회환경은 성장하는 미개척지 수준이다. 공중위생과 복지시설은 발전하는 도시와 남부 시골지역에 한정되어 있고 인구가 희박한 북부에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초등교육은 법적으로 무상·의무 교육이지만 학교와 교사 수가 부족하다. 쿠이아바 시에는 1970년에 설립된 마투그로수연방대학교가 있다.

주요경제활동은 목축 및 농업으로 수백만 마리의 소를 기르며, 주요시장은 상파울루이다. 철광석·마그네슘·주석·석회석 등의 주요광상이 있으며, 주요상업작물은 쌀·사탕수수·옥수수·오렌지·콩(생산량이 많은 순서) 등이다. 이 지방의 전통적인 생업은 소목장과 농장이었으나 20세기 후반에 브라질의 유사한 지역에서 온 이주자들 때문에 바뀌게 되었다.

지도
마투그로수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남아메리카

남아메리카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마투그로수


[Daum백과] 마투그로수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