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에드워드 마이브리지

다른 표기 언어 Eadweard Muybridge 동의어 Edward James Muggeridge
요약 테이블
출생 1830. 4. 9, 잉글랜드 서리 템스 강 유역 킹스턴
사망 1904. 5. 8, 템스 강 유역 킹스턴
국적 영국

요약 영국의 사진작가. 본명은 Edward James Muggeridge.

사진의 동작 연구와, 영화에서의 영사에 관한 에드워드 마이브리지의 선구적 업적은 매우 중요하다. 마이브리지가 에드워드 마이브리지를 자신의 이름으로 택한 것은 이 이름이 본명의 앵글로색슨식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젊었을 때 미국으로 이주했으나 별로 빛을 보지 못하다가 1868년 캘리포니아 주 요세미티 계곡을 찍은 대형사진들을 발표한 뒤 세계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다.

1872년 철도왕 릴랜드 스탠퍼드가 빠른 속도로 달리는 말의 네 다리가 특정한 순간 동시에 지면에 닿는다는 사실을 증명하고자 에드워드 마이브리지를 고용함으로써 사진 동작에 관한 그의 연구가 시작되었다. 첫번째 실험은 마이브리지의 카메라에 빠른 셔터가 없었기 때문에 실패했으며 그 계획은 마이브리지가 아내의 정부를 살해하려고 시도하는 동안 잠시 중단되었다. 마이브리지는 무죄를 선고받았으나 몇 년 동안 스탠퍼드 소유의 회사인 유니언퍼시픽철도회사의 광고사진을 찍으면서 멕시코와 중남미를 여행하는 것이 자신에게 유익하리라고 생각했다.

1877년 캘리포니아로 돌아와 12~24개의 배터리 카메라와 그가 개발한 2/1000초 노출을 만드는 특수한 셔터를 사용해 동작에 관한 사진실험을 재개했다. 이러한 장치는 만족할 만한 성과를 안겨주었고, 스탠퍼드의 주장을 증명했다. 에드워드 마이브리지의 연구 결과는 그의 사진을 보고 그린 소묘 형식으로 널리 출판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의 다리가 결코 그런 자세를 취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마이브리지를 비난했다. 그러한 비난을 반박하기 위해 마이브리지는 미국과 유럽 각지에서 동물의 움직임에 대해 강연했다.

이 강연에서 주프락시스코프(zoopraxiscope)라는 환등기를 사용해 자신의 연구 결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주프락시스코프는 에드워드 마이브리지가 개발한 것으로, 회전하는 유리 디스크 위의 인화된 사진을 스크린 위에 빠른 속도로 연속해서 투영함으로써 움직이는 그림의 착시현상을 유발하는 것이었다. 근대영화의 탄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 마이브리지의 동물습관관찰기계는 1893년 시카고에서 열린 콜럼버스 세계박람회에 전시되어 커다란 화제가 되었다.

에드워드 마이브리지는 펜실베이니아대학교의 후원을 받아 1884~87년에 그의 가장 중요한 업적인 사진 동작 연구를 했는데, 이 연구는 옷을 입거나 벗은 모습으로 여러 가지 다양한 움직임을 보여주는 인체에 대한 수많은 사진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예술가나 과학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인간의 모든 동작을 보여주는 시각일람표를 구성하는 것이었다. 이 사진들 중 일부가 1887년에 발표된 〈동물의 움직임, 동물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한 전기조명사진연구 Animal Locomotion, An Electro-Photographic Investigation of Consecutive Phases of Animal Movement〉라는 작품집에 수록되었다.

에드워드 마이브리지는 1900년 은퇴할 때까지 계속해서 작품을 발표했으며 연구 결과를 일반에게 널리 알렸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화가

화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에드워드 마이브리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