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마이두족

다른 표기 언어 Maidu

요약 캘리포니아 인디언의 하나.

마이두족(Maidu)

마이두족의 모습 (1851년)

ⓒ Weedwhacker128/wikipedia | Public Domain

페누티어 계통의 말을 쓴다.

원래 영토는 새크라멘토 강에서 동쪽으로 시에라네바다 산맥 꼭대기까지 이르렀지만 주로 페더 강과 아메리칸 강 유역에 집중적으로 살았다. 이들의 문화는 강유역과 산기슭, 산악지대 어느 곳에 사느냐에 따라 3가지 기본형태로 나누어졌다. 물질적 조건이라는 면에서도 세 집단은 각각 달랐다. 강유역 주민은 유복한 생활을 한 반면에 산악지대에서는 높은 곳으로 갈수록 가난했다.

마이두족은 종자와 도토리를 먹었으며 큰사슴(엘크)·사슴·곰·토끼·오리·거위 등을 사냥하고 연어·칠성장어 같은 물고기를 잡았다. 기묘하게도 상대적으로 안전한 환경에서 살던 주민들의 기술이 가장 발달했고 집도 가장 튼튼하게 지었다. 그래서 강유역 주민이 흙을 바른 커다란 공동주택을 지은 반면에 산기슭과 산지 주민은 덤불이나 나무껍질로 엉성한 달개집을 지었다.

마이두족은 여러 자치집단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각각 자체의 공유지를 가지고 있으면서 하나의 단위로 활동했다. 한 자치집단의 구성원들이 여러 부락에 흩어져 사는 경우도 있었다. 각 집단에는 우두머리가 있었다. 남부의 집단에서는 우두머리의 지위가 세습되었지만 북부의 집단에서는 재력과 명망을 지닌 인물이 우두머리가 되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명망을 잃으면 자리에서 쫓겨나기도 했다.

그밖의 수많은 중부 캘리포니아 인디언들과 마찬가지로 마이두족은 남자들의 비밀결사라든가 흙지붕을 씌운 특별한 사당에서 가면을 쓰고 분장을 한 채 비교의식을 하는 쿠크수 숭배를 행했다. 이러한 의식은 풍작이나 많은 사냥감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며, 홍수와 질병 같은 자연재해를 막아내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일면 자연주의 색채를 띠기도 했다. 지금은 200명도 되지 않는 인구가 시에라네바다 산맥에서 살고 있다.

Maidu woven coiled bowl

마이두족이 사용했던 짚으로 꼬아만든 그릇

ⓒ J.smith/wikipedia | CC BY-SA 3.0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북아메리카

북아메리카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마이두족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