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마약중독

다른 표기 언어 narcotic intoxication , 痲藥中毒

요약 마취작용을 하며 습관성을 가진 약물인 마약을 장기간 사용함으로써 마약을 쓰지 않고서는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없는 상태.

마약 중독

마약 중독의 위험성을 알리는 그림.

ⓒ Crystal Home/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마약중독은 마약의 반복적 사용으로 주기적 또는 만성적 중독상태를 일으켜 개인과 사회에 해를 끼치는 것을 말한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마약중독의 원인이 되는 약물로는 마리화나(marijuana 大麻)·엘에스디(lysergic acid diethylamide)·헤로인(heroin)·암페타민(amphetamine)·코카인(cocaine) 등이 있는데, 넓은 의미에서는 사회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알코올도 이 범주에 속한다. 마약중독의 증상은 마약의 종류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으나 세계보건기구(WHO)는 공통된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첫째, 약물을 계속 사용하려고 하며 어떠한 수단을 써서라도 약물을 얻으려는 강력한 욕망을 갖게 된다. 둘째, 용량을 계속 증가하려는 경향이 있다. 셋째, 약물에 대한 정신적·신체적 의존 경향이 있다. 넷째, 개인뿐 아니라 사회에도 해를 끼친다.

마약중독을 일으키는 마약의 사용과 남용에 대한 사회의 시각은 여러 가지이다. 마약이 초자연적인 통찰력 또는 개인적 성장의 수단을 제공하는 긍정적 기능을 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보통 사회의 정상생활에 대한 위협으로 보는 부정적 시각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마약중독은 중독자 개인은 물론 사회 전체에도 큰 해악을 끼친다.

개인적 측면에서 보면 우선 자신의 건강을 해치고, 유전적으로도 선천성 기형아를 낳을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중독자는 대개 가족에게서 버림받게 되고 가정경제를 파괴시키게 되며, 도덕적으로도 강도·폭행·강간 등 각종 범죄를 저질러 스스로를 파괴시키는 경우가 많다. 사회적 측면의 해악은 우선 전반적으로 국민 건강을 해친다는 점이다. 게다가 약물남용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 또한 막대하다. 그리고 중독자 개인의 건강을 해침으로써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게 함은 물론 근로의욕이나 경쟁의식을 잃게 만들어 사회발전에 큰 장애요소가 된다. 또한 대부분의 사회가 범죄로 채택하고 있는 마약류의 투약·제조·운반·공급의 문제 외에도 폭력·절도·강도·강간·탈세 등의 범죄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마약의 판매와 사용이 기존 가치와 사회체제에 대한 거부의 상징으로 여겨지므로 마약 사용이 형사적 처벌 등 엄격한 집합적 사회반응을 촉진하게 된다는 사실은 자연스러운 귀결이다. 그러나 약물중독의 문제가 법률적 제재로만 해결될 수 없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고 이에 따라 보다 종합적인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약물남용, 약물의존성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질병

질병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마약중독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