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마쓰오카 요스케

다른 표기 언어 Matsuoka Yosuke , 松岡洋右 , <일>まつおか ようすけ
요약 테이블
출생 1880. 3. 4, 일본 야마구치 현[山口縣]
사망 1946. 6. 27, 도쿄
국적 일본

요약 일본의 외교관·정치가.

소년시절 집안이 도산하자 미국으로 건너가 고학 끝에 1900년 오리건주립대학을 졸업했다. 귀국 후인 1904년 외교관 시험에 합격해 상하이[上海]·베이징[北京]·미국 등지에서 외교관 생활을 했다. 그뒤 현직에서 물러나 1921년에는 만주철도회사의 이사가 되었고 1927년 부총재가 되었다.

1930년 2월 중의원 의원에 당선된 그는 외무상 시데하라 기주로[幣原喜重郞]의 평화적인 외교를 비판하면서 만주·몽골에서의 일본의 권익을 옹호해야 한다고 역설하기도 했다.

만주사변이 발발하자 제네바 국제연맹총회에 수석전권대사로 파견되었으며 1933년 2월 24일의 총회에서 일본군의 만주철수를 권고하는 리턴 보고서가 채택되자, 국제연맹과 협력할 수 없다는 취지의 선언서를 읽은 뒤 회의장을 퇴장해 귀국 후 우익으로부터 영웅 대접을 받았다. 1935~39년에는 만주철도의 총재가 되었으며 1940년 7월 제2차 고노에[近衛] 내각이 출범하자 외무상으로 입각했다. 그는 대동아공영권 확립의 주창자로서 일본·독일·이탈리아 3국동맹을 체결했으며 소련을 포함한 4국동맹을 구상했다.

그러나 독·소 개전으로 4국동맹의 구상이 무너지고 그의 외교정책에 대한 반대 여론이 거세어지자 그의 외교는 파탄을 겪지 않을 수 없었다. 결국 고노에 내각이 1941년 7월 16일 총사퇴하면서 내각에서 물러났지만, 그의 외교정책을 그대로 이어받은 일본은 대미 화평에의 길을 찾지 못한 채 1941년 12월 8일 전쟁개시로 치닫게 되었다. 패전 후 도쿄 재판에서 A급 전범으로 지목되어 심리를 받던 중 병으로 죽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정치가

정치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마쓰오카 요스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