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마린 왕조

다른 표기 언어 Marinid dynasty 동의어 Banū Marīn

요약 알모아데 왕조에 이어 등장한 베르베르인 왕조.
Banū Marīn이라고도 함.

13~15세기에 한때 모로코, 아프리카 북부의 일부도 지배했다.

마린족은 코르도바의 우마이야 왕조 칼리프와 전통적으로 동맹관계에 있던 자나타 집단의 한 부족이다.

12세기 중반부터 모로코 동부에 자리잡고 있었으며 1248년 마린족의 지도자 아부 야야가 모로코의 페스를 점령해 수도로 삼았다. 1269년 지도자 아부 유수프 야쿠브의 지휘 아래 알모아데 왕국의 마지막 왕을 무찌르고 마라케시를 점령함으로써 마린족은 모로코의 지배자가 되었다. 이들은 이슬람 왕국으로서 의무를 다하고 종교적인 위세를 떨치기 위해 14세기 중엽까지 스페인에서 지하드[聖戰]를 벌였다. 전쟁 결과 그라나다의 이슬람 왕조인 나스르 왕조의 지위가 강해졌고 그리스도교 세력의 지브롤터 해협 진출이 늦춰지긴 했으나 마린 왕조는 그리스도교 세력에게 빼앗긴 영토를 회복하지 못했을 뿐 아니라 옛 알모아드 제국을 재건하려던 아프리카 지역도 상실했다. 마린 왕조의 가장 위대한 술탄(왕) 아부 알 하산은 1337년 틸림산(틀렘센)의 수도 아브달와디드를 함락했지만 그를 이은 아부 이난 통치 때에 와서도 튀니지의 하프스 왕조를 무너뜨리지는 못했다. 이러한 전쟁들은 마린 왕조의 재원을 고갈시켜 15세기경 마린 왕국은 무정부 상태가 되었다. 마린족의 한 갈래인 와타스(바누 와타스)족이 1465년 모로코를 지배했으나 1548년 무하마드의 후손인 사디 샤리프들이 페스를 점령하자 마린 왕조는 무너졌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마린 왕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