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마루의 분포와 형태

다른 표기 언어
마루

나무판자로 만들어진 마루의 모습

ⓒ cristovao/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마루는 무더운 남쪽지방에서 발달하여 점차 북쪽지방으로 전파되었다.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영남내륙에는 '대청있는 홑집'이 많이 분포되어 각 방을 연결해줄 뿐만 아니라 가족들의 생활공간·관혼상제 등의 의례적 공간으로 활용된다.

남동해안지역에는 '안청'이라는 닫힌마루가 존재하여 곡식을 보관하는 일종의 곡물창고 기능을 한다. 호남해안지역에는 '중앙부엌형 홑집'이 발달하여 큰방 옆에 '마래'라는 공간을 두어 안청과 같이 마루바닥을 깔고 곡물창고 기능을 한다. 마루의 난방은 주로 화로에 의지했으며, 고상식주거의 잔형으로 보이는 제주도 마루에 '봉독화로'라는 시설이 전해진다.

우물마루널 한 부분을 들어내고 정방형의 화로를 만들어 숯을 지피도록 만든 것인데 일본 살림집에서도 볼 수 있다. 제주도에서는 큰구들 앞에 '낭간'이라 부르는 툇마루가 붙어 있기도 하다. '대청'이라 부르는 본격적인 마루공간은 개성과 그 이남지방의 특유한 마루방으로서 주로 여름철에 이용하는 곳이다.

여름철에는 대청의 도리에 달린 '사첩분합문'을 접어서 천장에 달아 매어놓기 때문에 대청을 중심으로 웃방·건넌방이 다 트여 통풍이 잘된다. 그러나 겨울철에는 사방에 있는 문들을 닫기에 이용하지 않는다. 함경도지방에는 바닥을 마루로 한 대청이 없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마루


[Daum백과] 마루의 분포와 형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