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필립 로스

다른 표기 언어 로스 , Philip (Milton) Roth
요약 테이블
출생 1933. 3. 19, 미국 뉴저지 뉴어크
사망 2018. 5. 22, 미국 뉴욕
국적 미국

요약 미국의 현대 소설가. <콜럼버스여 안녕>으로 명성을 얻은 이래, 미국 현대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로 평가받았다. 초기작에서는 유대인 중산층의 생활에 대한 관심, 성애와 가족애 등을 보여주었다면, 중기 이후에는 미국 현대사 속에서 영향받는 개인의 삶을 주목했다. 소설 절필을 선언한 2012년 이전까지 약 30권의 장편소설을 발표한 다작의 작가로, 맨부커국제상, 펜 포크너상 등 많은 상을 수상했다.

미국의 소설가. 필립 로스는 1933년 3월 19일 미국 뉴저지에서 폴란드 계 유대인 가정에서 출생했다. 시카고대학교에서 영문학을 전공한 뒤 문학석사학위를 받고 시카고대학교와 몇몇 대학에서 문예창작과 비교문학을 강의하면서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그는 단편집 〈콜럼버스여 안녕(Goodbye Columbus)〉(1959)으로 전미도서상을 수상하면서 처음 명성을 얻었다.

그는 첫 장편소설인 〈자유를 찾아서(Letting Go)〉(1962)를 발표한 데 이어 1967년 〈그녀가 아름다웠을 때(When She Was Good)〉를 썼다. 물의를 일으킨 소설 〈포트노이의 불평(Portnoy's Complaint)〉(1969)은 유대계 미국인 남자의 성경험을 1인칭 시점에서 탐색하는 작품이다. 〈유방(The Breast)〉(1972)은 유방이 커진 남자의 경험을 다루며, 〈남자로서의 내 삶(My Life as a Man)〉(1974)은 〈포트노이의 불평〉을 연상시키는 작품이다.

〈욕망의 교수(The Professor of Desire)〉(1977)에서는 신체변화 이전의 행동에 있어서 〈유방〉의 주인공을 재현했다. 이후 〈유령작가(The Ghost Writer)〉(1979)·〈풀려난 주커만(Zuckerman Unbound)〉(1981)등을 발표했다. <미국의 목가(American Pastoral )>(1997), <나는 공산주의자와 결혼했다(I Married a Communist)>, <휴먼 스테인(The Human Stain)>(2000)은 흔히 '미국 3부작'으로 불리며,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이르는 미국 사회의 변화와 그 속에서 훼손되는 개인의 삶을 보여준다.

2010년 <네메시스(Nemesis)>를 발표한 뒤, 2012년 소설 창작을 그만두겠다고 선언했으며, 2017년에는 에세이집 <왜 쓰는가(Why Write?)>을 펴냈다. 그의 소설들은 자전적 요소가 강하며, 유대계 미국인들의 경험과 심리묘사가 많이 등장하지만, 그 스스로는 유대인으로서의 자신을 드러내기를 좋아하지 않았다. 초기 소설에서는 미국 내 유대인 사회와 그에 맞선 젊은이들의 반항과 투쟁이 주로 나타났으며, 후기에는 미국의 현대사가 개인의 삶에 끼친 영향을 추적하곤 했다.

그는 평생 거의 30권의 장편소설을 발표한 다작의 작가였으며 많은 문학상을 받았다. 1998년에는 <미국의 목가>로 퓰리처상을 수상했으며, 2002년에는 미국문학예술아카데미의 골드메달을 수상했고, 전미도서상, 전미비평가협회상, 맨부커국제상 등을 수상했다. 그는 <샤일록 관리(Operation Shylock)>(1994), <휴먼 스테인>(2001), <에브리맨(Everyman)>(2007) 등 펜 포크너 상을 세 번이나 수상하기도 했다. 그는 2018년 5월 22일 울혈성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작가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5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1998년 퓰리처상 수상 작가 '필립 로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필립 로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