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라스 카즈

다른 표기 언어 Emmanuel(-Augustin-Dieudonné-Joseph), comte de Las Cases
요약 테이블
출생 1766. 6. 21, 프랑스 랑그도크
사망 1842. 5. 15, 파시
국적 프랑스

요약 세인트헬레나 섬에서 나폴레옹의 마지막 대화를 기록한 사람으로 유명한 프랑스의 역사가.

이 대화록은 유럽에서 나폴레옹 신화를 퍼뜨리는 데 큰 역할을 했다.

프랑스 해군의 장교로 있다가 1790년에 영국으로 이주했으며, 그곳에서 나폴레옹의 관심을 끈 〈역사 지도 Atlas Historique〉(1802)를 펴냈다. 그뒤 1809년 나폴레옹을 지지하는 왕당파들과 함께 프랑스로 돌아와 국무회의의 작은 직책을 맡았고 1810년에는 백작이 되었다. 나폴레옹이 패배한 뒤(1814) 다시 영국으로 갔다가 '백일천하'(1815) 때 나폴레옹에게 가담했고, 유배를 떠나는 나폴레옹을 따라 세인트헬레나로 갔다. 거기서 약 18개월 동안 나폴레옹과의 대화를 기록했는데, 여기에는 나폴레옹의 전쟁관, 나폴레옹 제국과 프랑스 혁명을 연속적으로 보는 입장, 정치철학, 종교와 철학에 대한 의견 등 나폴레옹의 전반적 견해가 담겼다.

그가 나폴레옹에 대한 대우를 불평하는 편지를 쓰자 영국 정부는 그를 영국에서 추방하고 원고도 압수했다. 영국 입국이 금지된 그는 나폴레옹이 죽은 뒤 1822년 프랑스 귀국이 허용될 때까지 독일과 벨기에를 여행하면서 보냈다. 자신의 원고를 되찾은 뒤 그것을 〈세인트헬레나의 회상 Mémorial de Sainte-Hélène〉(1823)이라는 책으로 출간하여 일시에 대단한 인기를 누렸다. 생드니의 대의원(1831~34, 1835~39)을 지낼 때에는 루이 필리프의 통치를 반대하는 급진좌익의 길을 걸었다.

〈세인트헬레나의 회상〉은 나폴레옹 몰락 후 최초로 나온 나폴레옹에 대한 옹호였다. 나폴레옹 편에 서서 쓴 것이었으나 프랑스 혁명 이념과 나폴레옹을 동일시함으로써 그뒤 자유주의자와 보나파르트파의 연합을 촉진했고 나폴레옹 3세의 등장에 기여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학자

학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라스 카즈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