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라모스 오르타

다른 표기 언어 Jose Ramos-Horta
요약 테이블
출생 1949. 12. 26, 동티모르 딜리
국적 동티모르

요약 동티모르의 독립운동가.

카를로스 필리페 시메네스 벨로 주교와 함께 1996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라모스 오르타의 어머니는 티모르 원주민이었다. 아버지는 포르투갈인으로 살라자르 독재정권에 반대하는 폭동에 참가했다는 이유로 동티모르에서 추방되었다.

그는 미국에서 법학을 공부한 후 포르투갈의 지배하에 있던 조국으로 돌아와 독립운동에 투신했다. 그의 활동이 포르투갈 총독의 분노를 사자, 라모스 오르타는 1970년 모잠비크로 피신해야 했다. 1972년 동티모르로 돌아온 그는 독립을 추구하는 프레틸린 파벌과 함께 내전에 가담했다. 1975년 11월 28일 프레틸린은 정부를 장악하고 동티모로의 독립을 선언했다. 라모스 오르타는 프레틸린 정부에서 외무장관을 맡았다. 그러나 9일 후 인도네시아가 동티모르를 침공했고 그는 다시 망명을 떠나야 했다.

그 후 오스트레일리아에 정착해, 사우스웨일스대학교 교수가 된 라모스 오르타는 그의 지위를 활용해 국제사회에 동티모르의 독립을 호소하는 주요 인물이 되었고, 국제연합(UN)에서 사실상의 동티모르 대사관직을 수행했다. 라모스 오르타는 인도네시아 점령군이 자행하는 각종 인권침해 사례를 폭로하고, 동티모르에서 발생하는 폭력을 종식시킬 평화안을 발표하는 등 국제 사회가 동티모르 독립을 지지하도록 노력했다. 1996년 노벨상을 수상한 후 라모스 오르타는 상금을 마이크로크레딧이라는 빈민구제계획에 희사했다. UN 안정보장이사회가 동티모르에 UN 과도행정기구를 설치한 후 1999년 귀국한 그는 계속 용서와 화해를 주장했다. 2000년 동티모르의 외무장관이 되었고, 2002년 동티모르가 독립국을 선포한 이후에도 계속 외무장관직을 수행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라모스 오르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