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뜸부기

다른 표기 언어 water cock
요약 테이블
분류 척추동물 > 조강 > 두루미목 > 뜸부기과 > 뜸부기속
원산지 아시아 (대한민국,필리핀)
서식지 논, 초습지, 풀숲
먹이 벼, 달팽이
크기 약 33cm ~ 38cm
무게 약 228g ~ 510g
학명 Gallicrex cinerea
식성 잡식
멸종위기등급 낮은위기

요약 두루미목 뜸부기과에 속하며 습지에 서식하는 새. 한국과 필리핀이 원산지이고, 논과 초습지, 풀숲에 서식한다. 식성은 잡식이며, 벼와 달팽이를 주 먹이로 삼는다. 크기는 33~38cm 정도이고, 무게는 228~510g 정도이다. 낮은 위기의 멸종위기등급을 받았다.

뜸부기

ⓒ WIKIMEDIA COMMONS (J.M.Garg) | cc-by

개요

조강 두루미목 뜸부기과 뜸부기속에 속하는 척추동물. 학명은 ‘Gallicrex cinerea’이다. 울음소리가 ‘뜸북 뜸북’ 하고 난다고 하여 ‘뜸부기’라는 이름이 붙었다. 고기와 알을 얻기 위해 사냥된다. 크기는 약 33~38cm, 무게는 약 228~510g이다. 원산지는 한국과 필리핀으로, 논에다 둥지를 틀고 벼를 먹기 때문에 농업에 악영향을 끼치는 동물로 취급된다.

형태와 생태

크기는 약 33~38cm, 무게는 약 228~510g이다. 수컷은 몸이 흑청색, 다리는 붉은색, 부리는 원추형으로 빨간색이며 튀어나온 이마에는 붉은 볏이 있다. 암컷은 황갈색을 띠며, 얼룩무늬와 줄무늬가 있다. 원산지는 한국과 필리핀이고, 주로 인도에서 일본과 필리핀 등의 동남아시아 전역에 분포하며 논이나 초습지, 풀숲에 서식한다. 흔히 논에다 둥지를 틀기 때문에 벼농사에 해를 준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멀티미디어 더보기 3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뜸부기


[Daum백과] 뜸부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