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1959년 서울 뚝섬에서 발견된 삼국시대 불좌상.
높이 4.9㎝.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작은 상으로 부식이 심하지만 대체적인 형태는 알아볼 수 있다. 고개를 약간 숙이고 손을 모아 배에 대고 있는 모습이 선정인을 취한 것 같다. 머리는 작은 편으로 소발이며 얼굴은 마멸되어 세부표현을 알 수 없다.
법의는 통견으로 목둘레를 감고 있는데 가슴이 드러나 보이지 않으며, 몸 가운데로 둥근 옷주름이 늘어져 결가부좌한 다리 위를 덮고 있다. 대좌는 4각형으로 앞면의 양쪽에 사자가 부조되어 있는 사자좌이다.
조각양식은 중국불상 중에서도 이른 예에 속하는 5호16국시대나 북위 초기에 인도 간다라 불좌상을 수용한 불상들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따라서 중국의 불상으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지만 우리나라 불교수용 초기에 복제된 상일 가능성도 있다. 이와 같은 선정인의 불좌상은 이후 신라출토의 금동불좌상이나 군수리출토의 납석제불좌상 등에서도 볼 수 있어 우리나라 불교조각사에서 초기에 유행한 불상형식임을 알 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