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라디오, 텔레비전, 디스코 장, 그밖의 댄스홀에서 음반을 가지고 음악 방송을 진행하는 사람.
disk jockey라고도 씀.
줄여서 디제이(D. J.)라고도 한다. 디스크 자키 방송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많은 라디오 방송국에서 경비 절약의 기초가 되었다. 일반적으로 디스크 자키 1명이 방송을 진행하며, 디스크 자키는 전축 음반을 소개하고 틀어주며 사이사이에 격식없이 즉흥적인 이야기를 한다.
디스크 자키 방송은 1930년대에 처음 시작되었지만, 방송국에 곡 제목을 수시로 소개할 것을 규정한 미국연방통신위원회의 규칙 때문에 처음에는 곡명을 소개하느라 음악이 끊어지는 경우가 너무 잦았다.
이에 따라 청취자들이 참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자연히 발전을 방해받게 되었다. 디스크 자키는 또한 자신의 음반에 '라디오 방송 불허'라는 경고 딱지를 붙여놓은 음악가와 예술가들 때문에 제한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디스크 자키 쇼의 잠재력은 마틴 블록이 뉴욕 시에 있는 WNEW 방송국에서 찰스 A. 린드버그의 아기 유괴범에 대한 재판을 보도하는 뉴스 중간에 잠깐 자신의 음악 〈무도장이라고 가정하라 Make Believe Ballroom〉를 방송하면서부터 드러나기 시작했다. 수천 명의 청취자들의 요구가 쇄도하자 방송국은 유괴범 재판이 끝난 후에 임시 쇼를 방송했다.
1940년 미국연방통신위원회는 규정을 완화하여 곡 소개를 1시간에 2번만 하도록 했고, 같은 해에 '라디오 방송 불허' 딱지가 아무런 법적 효력도 없다는 판결에 따라, 디스크 자키 쇼의 인기는 점차 높아졌다. 라디오 디스크 자키는 제2차 세계대전 동안 미국작곡가작가출판업자협회(ASCAP)와 미국음악인연맹 사이에 임금 분쟁이 일어나는 바람에 다시 침체되었다. 디스크 자키와 음반 음악의 인기 때문에 연주가의 직접 출연에 대한 요구가 줄어들자 이것이 논쟁점이 되었던 것이다. 1944년 이 분쟁은 해결되었으며 음반을 만드는 재료인 비닐라이트와 셸락에 대한 전시 통제도 완화되었다.
1950년대가 끝날 무렵 디스크 자키에 대한 청취자들의 인기는 너무도 대단하여 어떤 음반이든지 그 성공 여부는 디스크 자키의 선호에 달려 있었다. 음반회사들은 디스크 자키의 도움을 받기 위하여 그들에게 돈이나 주식 등의 선물(보통 뇌물이라고 함)을 쏟아 붓기 시작했다. 1959년 연방정부의 조사에 의해 상업적인 뇌물수수 행위가 널리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이 전국적으로 드러나게 되었다.
그 결과 뇌물은 한동안 사라졌지만, 1980년대 중반에 아직도 많은 지역에서 뇌물수수 행위가 계속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텔레비전 디스크 자키 방송은 몇몇 댄스 쇼를 제외하고는 라디오에서만큼 인기가 있지는 않았지만, 1970년대 발랄한 디스코 춤의 출현을 계기로 디스크 자키에 대한 수요는 계속 증가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