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들불

다른 표기 언어 wildland fire

요약 숲, 초원이나 관목숲, 경작지 등에서 발생하는 통제할 수 없는 불(→ 산불, 브러시 파이어).

벌판에서는 기상조건의 변화가 화재의 커다란 요인이 된다. 가뭄·열·바람은 목재를 비롯한 가연성 물질들을 건조시켜 쉽게 불이 붙도록 만들 뿐만 아니라, 일단 화재가 발생하면 불길을 더욱 거세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지형 또한 영향을 미치는데 높은 곳으로는 불이 쉽게 번지고 낮은 곳으로는 천천히 번진다.

불이 붙기 쉬운 마른 풀, 낙엽, 가벼운 나뭇가지 등은 빠른 속도로 연소되면서 많은 열을 발산하고 그 강한 열기는 보다 무거운 연료인 나무의 본체나 굵은 가지 또는 숲바닥에 두껍게 쌓인 나뭇잎의 퇴적층에까지 불이 옮겨 붙게 만든다. 일반적으로 서서히 점화되는 연료는 소화하기도 어렵다. 성장기의 녹색식물에는 불이 붙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대형 화재의 경우 잎은 쉽게 건조되어 곧 불이 붙게 된다. 뿐만 아니라 녹색연료는 특별한 위험을 수반한다. 즉 소나무·향나무·전나무·가문비나무 등의 상록수는 인화성이 강한 기름을 함유하고 있어, 여기에 들불의 뜨거운 열이 가해지면 화염이 분출되는 것이다.

들불을 소화하는 도구는 도시의 소방서에서 볼 수 있는 기본적인 장비로부터 휴대용 펌프, 물탱크차, 지상이동장비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특별한 들불 소화 훈련을 받는 소방대는 숲을 소유하고 있는 공공기관이나 개인에 의해 유지·관리된다. 소방대는 직접 물을 뿌리거나 두들겨서 불을 끄거나 또는 불길의 가장자리에 있는 식물들을 제거하여 방화선을 만들어서 그이상 불길이 번지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다. 불의 가장자리가 너무 뜨거워 접근이 어려울 경우에는 좀 떨어져서 안전한 거리에 방화선을 세워야 한다. 또한 좀처럼 불길을 잡을 수 없어 불이 옮겨가는 방향의 가연성 물질을 미리 없애려고 할 때, 또는 진로를 바꾸거나 진행속도를 줄이고자 할 때는 맞불을 놓을 수도 있지만 최후의 수단으로만 사용되고 있다(→ 소방활동).

1919년 캘리포니아에서는 최초로 들불진화작업에 비행기가 사용되었다. 비행기나 헬리콥터는 주로 물을 뿌리거나 관측을 하는 데 사용되며, 종종 통신에 도움을 주고 인명·장비·보급품 등을 수송하기도 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환경

환경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들불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