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위치 | 독일 서부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 주, 라인 강과 루르 강의 합류점 |
---|---|
인구 | 522,000명 (2022년 추계) |
면적 | 232.8㎢ |
언어 | 독일어 |
대륙 | 유럽 |
국가 | 독일 |
요약 독일의 행정구역. 라인 강과 루르 강이 합류하는 곳에 있다. 탄광과 철강산업중심지이며 중기계·화학제품·직물·목재·금속제품 등을 생산한다. 740년에는 프랑크족 왕가의 행정중심지였고 1129년에 자유제국도시가 되었고, 네덜란드 독립전쟁과 30년전쟁 등으로 고난을 겪었으나 1655~1818년에 개신교 대학이 있는 도시로서 활력을 되찾았다. 1880년 이후 산업화 확대로 외곽지를 흡수하였고 1975년에 외곽도시들까지 확장했다면서 오늘날 중요한 도시가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때 파괴되지 않고 남은 것으로 14세기에 고딕 양식으로 지은 살바토르 교회당이 있다.
라인 강과 루르 강이 합류하는 곳에 있다. 라인-헤르네 운하가 이 도시를 북해의 독일 항구들까지 연결하며 도르트문트 시에도 이어져 있어 도르트문트-엠스 운하까지도 연결해준다. 로마인들이 카스트룸데우토니스로 부르던 이 도시는 740년에는 프랑크족 왕가의 행정중심지인 디우스파르굼으로 기록되어 있다.
1129년에 인가를 받아 자유제국도시가 되었고, 1290년에 클레베가(家)로 넘어갔으며 1614년 클레베와 함께 브란덴부르크가의 영토가 되었다. 네덜란드 독립전쟁과 30년전쟁으로 고난을 겪었으나 1655~1818년에 개신교 대학이 있는 도시로서 다시 활력을 되찾았다.
1880년 이후 산업화를 확대해나가면서 1905년 루로르트 항구와 그 외곽지역을 비롯해 마이데리히를 흡수하고, 1929년에는 주요산업지역인 함보른·호흐펠트·노이도르프·뒤센을 끌어들여 오늘날 중요한 도시가 되었다. 1921~25년에 벨기에 군이 점령했고 1929~34년까지 뒤스부르크함보른이라고 불렸다.
뒤스부르크와 주변의 중심지들이 연합해 세계 최대 내륙항의 하나이자 서유럽 제일인 철강산업지역 가운데 하나가 되었으며, 1975년에 라인하우젠, 톰베르크-니델하인, 루메른-칼데후젠, 발줌과 같은 외곽도시들까지 합쳐져 다시 한 번 도시를 확장했다.
도시 중앙에 있는 부르그플라츠는 프랑크족의 궁정이 있던 자리이며 그뒤인 1253년에 튜튼 기사단 기사들의 근거지였으나 산업화 이전의 유적들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 제2차 세계대전 때 파괴되지 않고 남은 것으로 14세기에 고딕 양식으로 지은 살바토르 교회당이 있는데 그 안에 지도제작자 개라두스 메카토의 묘비가 있다. 또 12세기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지은 프레몽트레 수도원 교회는 함보른 지역에 있다.
이곳 태생인 유명한 조각가 빌헬름 렘브루크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렘브루크 미술관을 비롯해 시립미술관들과 역사기념관이 있으며 규모가 매우 큰 수족관을 가진 동물원도 있다. 고도의 기술훈련을 위한 대학수준의 기관인 게잠토흐슐레는 1972년 교수들과 기술대학들이 연합해 세웠다.
뒤스부르크는 탄광과 철강산업중심지이며 중기계·화학제품·직물·목재·금속제품 등을 생산한다. 라인 강을 가로지르는 뒤스부르크-뉴엔캠프 다리는 길이가 350m로 세계에서 기둥 사이의 거리가 가장 긴 결구교(트러스로 묶은 다리) 가운데 하나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