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동호문답

다른 표기 언어 東湖問答

요약 1569년(선조 29)에 성리학자 이이(李珥 : 1536~84)가 경국치민(經國治民)의 의견을 문답체로 저술한 책.

이이(李珥)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다.

ⓒ 16th century artist/wikipedia | Public Domain

활자본. 왕도정치의 포부를 군도(君道)·신도(臣道)·군신상득지난(君臣相得之難)·동방도학불행(東方道學不行)·아조고도불복(我朝古道不復)·당금지시세(當今之時勢)·무실위수기지요(務實爲修己之要)·변간위용현지요(辨姦爲用賢之要)·안민지술(安民之術)·교인지술(敎人之術)·정명위치도지본(正名爲治道之本) 등 11개 조로 나누어 논하고 있다.

고금의 치란은 왕패에 있다 하여 왕도를 가장 강조했다. 삼대 이후 왕도를 행한 사람이 없는 이유는 도학에 밝지 못했기 때문이라 하고 도를 쌓고 명분을 바로잡을 것을 논했다. 도의 현실 적용문제로서 백성을 평안히 하는 방법과 교육의 방법에 대해서도 논했다. 백성을 평안히 하기 위해서는 폐단이 많은 법을 개혁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언로를 넓히고 중지(衆智)를 모아야 하며, 교화를 펴는 방법은 학교가 으뜸이므로 태학 및 사학을 이끌기 위한 구체적인 대책을 제시하고, 과거제도도 과감히 개혁할 것을 논했다. 이이의 경세제민과 사회개혁안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1611년(광해군 3) 박여룡(朴汝龍)·성혼 등이 간행한 〈율곡문집 栗谷文集〉 권7에 수록되었고, 그후 1742년(영조 18)에 이재(李縡)와 이이의 5대손 이진오(李鎭五) 등이 보편(補編)한 〈율곡전서 栗谷全書〉 권15에 수록되었다.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동호문답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