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동헌

다른 표기 언어 東軒

요약 조선시대 지방관들이 정무를 집행하던 관아건물.

지방관아는 중앙에 담과 정문을 내어 각종 집무실과 창고를 두고 주변에는 객사·향교 등 부속건물을 둔다. 정문 안에 다시 담을 둘러 수령이 직접 공무를 수행하는 외아(外衙)와 수령의 가족들이 거주하는 내아(內衙)를 두고 외·내아는 다시 담이나 행랑으로 구분한다.

동헌이란 명칭은 외아가 내아의 동쪽에 있는 데서 연유했다. 그러나 나중에는 동헌이 그냥 관아를 지칭하는 말이 되어 외동헌, 내동헌이라고도 부르게 되었다. 동헌의 구조와 크기는 군현의 사정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나지만 전체적인 구성은 유사하다. 보통 정면 6~7칸, 측면 3~4칸 건물로 전체 평수는 40~50평 정도이다. 동쪽에 대청을 두고 서쪽에 온돌방과 다락을 둔다. 방의 앞에 툇마루, 뒤에 누마루와 광을 낸다. 내아와는 담이나 행랑을 내어 구분한다. 대체로 외아는 상류가옥의 사랑채, 내아는 안채구조와 비슷하다.

건축양식은 익공식과 민도리집 양식을 혼용한다. 높은 기단위에 두리기둥과 방주를 사용하고, 지붕은 팔작지붕을 올린다. 조선시대 관아건물은 일제강점기 때 대부분 철거되어 온전히 남아 있는 것이 없고(초등학교 교사로 전용된 것이 많음), 동헌·향교 등 일부건물이 몇 군데 남아 있는데 중간에 개축되어 약간씩 변형된 것도 있다. 현존하는 동헌 가운데 보존이 잘된 것으로 원주의 선화당, 김제 사칠헌(事七軒), 충주 청녕헌(淸寧軒), 울산 일학헌(一鶴軒)이 있다. 그밖에 태인·동래·직산·강화·과천·청안의 동헌 등이 남아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2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보은동헌(충북유형문화재 제115호)


[Daum백과] 동헌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