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동진수리민속박물관

다른 표기 언어 東津水利民俗博物館

요약 경작문화의 발상지인 김제 지역 수리사의 맥락과 사라져가는 수리농경·생활 용구와 민속자료를 수집해 농경 발전과정을 종합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만든 수리 박물관.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신풍동 491-1에 위치하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에 있는 민속박물관. 2,000년 전 벽골제를 축조했던 도작문화의 발상지인 김제시가 지역의 수리·농경·민속자료를 모아 1983년 7월 5일 한국농어촌공사 동진지사청 내에 설립했다.

1992년 문화부에 제1종 전문박물관으로 등록되었다. 405.92㎡의 부지에 연면적 405.92㎡ 규모의 전시실을 갖춘 동진수리민속박물관는 1,711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농경문화실, 수리문화실, 생활문화실로 나뉘어진 전시실에서 600점의 민속품을 전시하고 있고, 수장고에 1,111점의 민속품을 수장하고 있다. 매년 평균 8,229명의 관람객이 박물관을 찾고 있다.

소장품은 크게 수리기구와 경작용구로 나뉜다.

수리기구로는 양수용 수레인 무자위, 양수용 옹두레, 풀무의 원리를 이용한 물풍구 등이 있고, 경장용구로는 쟁기·따비·괭이·고무래·가래·살포·써레 등이 있다. 곡식을 다루는 기구인 나무손홀태·도리깨·디딜방아와 연자방아 등도 소장하고 있다.

동진수리민속박물관은 일반적인 박물관과 마찬가지로 전시활동을 위주로 활동하고 있으며, 특히 김제 지역뿐 아니라 김제의 농경·수리 문화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 문화 향유 및 교육 장소로서 박물관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교육용 영상과 CD를 제작·보급하는 등의 교육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4월에서 10월 사이에는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관람할 수 있고 11월부터 3월까지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만 이용할 수 있다.

매주 일요일은 휴관하고 관람은 무료로 할 수 있다.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신풍동 491-1에 위치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박물관

박물관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동진수리민속박물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