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922. 5. 9, 함북 명천 |
---|---|
사망 | 1997. 8. 17, 서울 |
국적 | 한국 |
요약 러시아어 번역문학가.
국내 최초로 〈노한사전 露韓辭典〉편찬작업을 주도했으며, 러시아 문학 연구 1세대를 대표하는 학자였다.
1943년 만주에 있는 건국대학 정치과를 졸업했으며 재학시절 중국어와 러시아어를 익혔다. 1944년 일본군 학도대로 끌려갔다가 소련군의 포로가 되어 1949년까지 소련 영내에서 포로생활을 했다. 1950년 5월부터 6개월간 조소해운 청진항 사무소에 근무하던 중 6·25전쟁이 발발하자 1951년 4월부터 약 5개월간 북한군에 소속되었다가 귀순해 미군 군속으로 일했다.
1953년 공군사관학교 교수, 1954~69년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어과 교수, 1972년 한국외국어대부설 소련 및 동구문제연구소 소장, 1975~87년 고려대학교 노어노문학과 교수, 1980~83년 고려대 부설 러시아문화연구소 초대 소장, 1987~88년 한국노어노문학회 고문, 1988~97년 학술원 회원 등을 지냈다. 그는 러시아어로 된 책이면 무조건 불온문서로 여기던 시절에도 꿋꿋하게 국내 러시아 문학계의 토대를 다진 것으로 유명했다.
저서로 〈러시아어〉(공저, 1975)·〈노어사전〉(공편, 1987)이 있고, 번역서로는 고골리의 〈대장 불리바〉(1960)를 비롯해 솔제니친의 〈암병동〉(1968), 톨스토이의 〈안나 카레니나〉(1969), 도스토예프스키의 〈미성년〉(1970), 푸슈킨의 〈대위의 딸〉(1972), 일리인의 〈인간의 역사〉(1975) 등 20여 편이 있다. 그리고 논문은 〈소련 청소년과 러시아 문학〉(1963)·〈소련의 정치〉(1964)·〈소련의 영재교육〉(1981)·〈러시아 인접 제국가 및 주요국가 중등교육과정에 있어서의 러시아어 교육현황〉(1994) 외 10여 편을 남겼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