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동시무대장치

다른 표기 언어 multiple setting , 同時舞臺裝置

요약 모든 장면이 동시에 보이고 '플라테아'(platea)라는 분산된 연기장소, 곳곳에 설치된 맨션 또는 하우스로 알려진 작은 방으로 여러 장면을 나타내는 연출기법.
(프). d대체이미지cor simultan대체이미지. simultaneous setting이라고도 함.

중세 연극에서 사용되었다. 장면을 바꿀 때는 배우들이 한 맨션에서 또다른 맨션으로 이동했고 관객들은 플라테아를 그 장면에서 사용되는 맨션의 일부로 여기고 다른 방들에는 신경쓰지 않았다.

동시무대장치는 보통 성직자로 구성된 연기자들이 교회 안에서 여기저기 이동함으로써 장면의 전환을 나타냈던 예배극에서 비롯되었다. 12세기에 연극무대가 교회 안에서 교회 마당이나 장터로 옮겨짐에 따라 궁궐과 사원, 도시의 성문, 심지어 항해중인 배 등의 장면을 아주 생생하게 나타내는 방들이 등장하면서 무대장치가 점점 정교해졌다.

천국과 지옥은 무대의 양 끝에 있는 맨션으로 나타냈다. 가장 정교하고 독창적인 맨션은 괴물의 입처럼 생긴 지옥문으로, 연기와 불꽃이 새어나왔으며 배우들은 악마를 연상시키는 의상을 입었다.

동시무대장치는 연극이 좀더 제한된 실내공간에서 공연되기 시작했던 르네상스기를 거치면서 대부분 사라지고 그대신 움직이는 무대장치가 완성되었다. 그러나 20세기의 많은 연극에서 동시무대장치 기법이 되살아나고 있다. 이 장치는 실내와 실외, 위층과 아래층, 지리적으로 떨어진 곳의 동시상황 및 꿈속의 장면을 묘사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유진 오닐과 아서 밀러, 테네시 윌리엄스 같은 극작가의 주요작품들을 공연할 때 이 동시무대장치가 매우 적절하게 사용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연극

연극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동시무대장치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