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동서울종합 터미널

다른 표기 언어
요약 테이블
설립 1989년 9월
국가 대한민국
소재지 서울시 광진구 강변역로 50
사이트 https://www.ti21.co.kr/

요약 서울에 있는 터미널. 중부고속도로 활성화 방침에 의거해 동북부지역 주민의 고속버스 이용에 편의를 제공하고 도심교통의 원활한 유통을 위해서 1988년 공용 여객자동차 사업면허를 취득하고 동서울터미널로 명칭이 바뀌었다. 경기도, 강원도, 경상도, 충청도, 전라도로 향하는 노선을 두루 갖추었다. 서울시 광진구 강변역로 50번지에 있다.

기업 스토리

동서울종합터미널

서울 광진구 강변역로 50

ⓒ Hnc197/wikipedia | CC BY-SA

역사

1988년 터미널 공사를 완공하여 1989년 9월 1일부터 사업을 시작했다. 도심에 위치하고 있던 동대문구의 마장동 시외버스 터미널(1969년부터 운영)과 천호동 시외버스 여업소를 1곳으로 모아 교통을 원활히 하고 이용객의 편리를 돕고자 건설되었다. 총면적 0.04㎢의 지하 3층, 지상 7층의 현대식 공동 터미널로, 지하 2·3층은 주차장, 지하 1층은 편익시설, 지상 1·2층은 대합실, 지상 3층 이상은 사무실 및 각종 편의시설이 들어서 있다. 고속버스는 경부·영남·호남 고속도로를 운행하며, 시외버스는 강원도, 경기도, 경상북도 북부, 충청북도 일원, 충청남도 일부 지역 등을 연결한다. 지하철 2호선 강변역을 통해 시내와 직접 연결되어 보다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어있다

연혁

• 1989년 9월 : 주식회사 터미널 전산 창립
• 1989년 11월 : IBM 4692 POS를 이용한 매표업무 전산화 추진
• 1990년 7월 : IBM 4692 POS로 승차권 전산 발매 (전국 터미널 최초)
• 1992년 3월 : 노선안내 ARS SYSTEM 가동 (8회선→48회선)
• 1994년 9월 : 매표창구 PRINTER 교체 (DOT→THERMAL)
• 1999년 5월 : AS400 170 시스템 도입 (회원제 예매 실시)
• 1999년 12월 : 동서물터미널 홈페이지 개설, 인터넷 예매 실시 (www.busnara.com)
• 2001년 10월 : 수원지점 지사 설립 (수원터미널)
• 2003년 4월 : 경부선 매표용역 인수
• 2005년 7월 : 매표 시스템 변경 (이지인터넷)
• 2005년 9월 : 동서울터미널 홈페이지 새로 오픈
• 2007년 9월 : 인터넷 예약발권 무인발매기 설치
• 2008년 12월 : 현장카드발권시스템 구축
• 2009년 4월 : 노선안내(Touch Screen) 시스템 구축
• 2015년 12월 : 경부선, 영동선, 호남선 고속버스 통합 이지티켓 예매 시스템 구축

현황

한진중공업 소유이며, 버스 운행을 담당하는 회사로 강원여객·강원흥업·거창고속·경기고속·경남버스를 비롯해 39개의 운수회사가 있고, 차량대수는 약 1790대이다. 운행노선은 고속버스 14개, 시외버스 118개로 총 132개 노선에 이른다. 또한 총 36개의 시외버스 승차장, 11개의 고속버스 전용 승차장이 개설되어 있다. 하루 평균 이용승객 수는 약 28,500명이다. 소재지는 서울시 광진구 강변역로 50번지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서울

서울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동서울종합 터미널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