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돌차기

다른 표기 언어 hopscotch 동의어 사방치기, 망차기, 오랫말놀이, 목자놀이, 발전놀이, 팔방치기, 깨끔치기, 시차기, 망깨차기, 마우차기

요약 어떤 유형이든 선을 밟지 않고 뛰어넘는 것이 목적이다. 선을 긋는 형태는 매우 다양하다. 모든 칸에는 숫자가 적혀 있어서, 순서 대로 밟아나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양한 놀이형태 가운데 가장 흔한 변형은 한쪽 발을 들고 나머지 한쪽 발로 돌을 차서 다음 칸으로 보내는 것이다. 나선형 그림에서도 돌차기 놀이를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한쪽 발로 나선형 한가운데의 휴식공간까지 깡충깡충 뛰어갔다가 다시 돌아서 나온다. 한국의 돌차기는 사방치기·망차기·오랫말·목자놀이·발전놀이·팔방치기·깨끔치기 등으로 불린다. 보통 2~3명이 놀이를 하나 인원이 많으면 편을 가르기도 하고 어떤 경기에서는 술래 한 사람만 남기고 전원이 놀이에 참가하기도 한다.

선을 밟지 않는 것이 기본원칙이다. 여러 나라에 다양한 유형의 돌차기 놀이가 존재한다. 이 놀이의 영국식 이름인 '홉스카치'는 놀이의 목표를 나타낸다. 즉 땅에 그은 선(scotch)을 뛰어넘는(hop) 것이 이 놀이의 목적이다.

돌차기

돌차기 그림의 예들, 나선형 그림에 써 있는 알파벳은 놀이 참가자들 이름의 약자이다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선을 긋는 형태는 매우 다양하다. 선으로 둘러싸인 칸에는 숫자가 적혀 있어서, 순서대로 밟아나가야 한다. 이 놀이의 한가지 형태를 예로 들면, 우선 한 사람이 '1'이라고 적힌 칸에 작고 납작한 돌멩이를 던져 넣는다. 돌이 칸에 정확히 떨어지지 않고 선에 닿거나 밖으로 나가면 기회를 잃는다. 돌이 제대로 떨어지면 한쪽 발을 들고 깡충 뛰어 2번째 칸으로 넘어간다. 이런 식으로 칸에 적힌 숫자를 따라 순서대로 나아가는데, 선에 닿거나 쓰러지거나 들고 있는 발이 땅에 닿으면 안 된다. 두 다리를 벌려 1쌍의 공간을 양쪽 발로 하나씩 동시에 밟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도록 되어 있는 그림도 있다. 또한 놀이를 하는 사람이 두 발로 땅을 딛고 쉴 수 있는 휴식공간을 지정해놓을 수도 있다. 마지막 숫자가 적힌 칸에 도착하면, 돌아서서 왔던 길을 되짚어 역순으로 이동한 다음, 돌을 집어들고 그림 밖으로 깡충 뛰어나온다.

실수를 하지 않고 그림을 끝까지 통과한 사람은 놀이를 계속할 수 있는데, 이번에는 2번째 칸에 돌을 던져넣고 한쪽 발로 첫번째 칸에 들어가 2번째 칸을 뛰어넘어 3번째 칸으로 간다. 이런 식으로 그림을 완전히 한 바퀴 돌면, 그 사람은 아무 칸에나 본인 이름의 머릿글자를 써넣을 수 있다. 그러면 그 사람은 이 칸을 휴식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은 이 칸에 들어갈 수 없다. 놀이에 참가한 사람들이 놀이를 끝내기로 합의하거나 모든 칸에 머릿글자가 적히면 놀이는 끝난다. 가장 많은 칸에 머릿글자를 써넣은 사람이 승자가 된다.

다양한 놀이형태 가운데 가장 흔한 변형은 한쪽 발을 들고 나머지 한쪽 발로 돌을 차서 다음 칸으로 보내는 것이다. 또는 첫번째 칸에 돌을 던져넣고 한쪽 발로 그 칸에 깡충 뛰어들어간 다음, 다시 기준선을 통과하여 그림 밖으로 돌을 차낼 수도 있다. 각 칸마다 순서대로 이 과정을 되풀이한다. 독일식 돌차기 놀이인 '힝크슈필'(Hinkspiel)에서는 이 과정을 다 끝낸 후 그림에 등을 돌리고 돌아서서 돌을 어깨 너머로 던진다. 돌멩이가 떨어진 칸은 그 사람의 '집'이 되어 휴식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지만, 다른 사람들은 '주인'이 사용을 허락하지 않으면 그 칸에 들어갈 수 없다.

나선형 그림에서도 돌차기 놀이를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한쪽 발로 나선형 한가운데의 휴식공간까지 깡충깡충 뛰어갔다가 다시 돌아서 나온다. 성공한 사람은 아무 칸에나 본인 이름의 머릿글자를 써넣을 수 있다. 한가운데에 도달할 수 없게 되거나 모든 칸에 이름의 머릿글자가 적힐 때까지 놀이는 계속된다.

한국의 경우 돌차기 놀이는 지역에 따라 사방치기·망차기·오랫말·목자놀이·발전놀이·팔방치기·깨끔치기·시차기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보통 2~3명이 놀이를 하나 인원이 많으면 편을 가르기도 하고 어떤 경기에서는 술래 한 사람만 남기고 전원이 놀이에 참가하기도 한다. 크게 2가지 형태로 나누어볼 수 있는데, 돌을 칸에다 던져넣고 칸을 깨끔질로 뛰어넘는 형태와 역시 칸에 돌을 던져놓고 깨끔질로 칸에서 칸으로 돌을 차서 보내는 형태가 있다.→ 망차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놀이

놀이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돌차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