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청동기문화의 대표적 석기.
마제석검(磨製石劍)이라고도 한다. 함경북도를 제외한 한반도 전역과 일본 규슈[九州] 지방, 그리고 연해주지방에서만 출토되며 만주지방에는 분포하지 않는 점으로 미루어보아 청동기문화의 영향을 받아 한반도에서 독자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검 양쪽에 날을 세운 돌검은 형태에 따라 자루식과 슴베식으로 분류하며 자루식에는 단(段)이 있느냐에 따라 맨자루식[一段柄式]과 홈자루식[二段柄式]으로 구분되는데, 그밖에 절(節)의 유무, 피홈의 유무에 따라 세분되기도 한다. 슴베식 돌검을 돌창[石槍]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지금까지 돌검의 조형(祖形)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세형동검, 중국식동검, 오르도스 동검 등이 거론되었고, 동검 외에 동과·창·동모 등을 모방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이중 세형동검을 모방했다는 설은 이미 파주 옥석리 주거지유적에서 출토된 돌검이 세형동검보다 앞선다는 예를 통해 설득력을 상실하고 있다.
돌검은 집터를 비롯하여 고인돌·돌널무덤·조개더미유적 등에서 나오는데 초기의 것들은 실용의 기능이 있으나 시기가 늦을수록 무덤에 묻기 위한 의기의 성격이 강하다. 돌검은 청동검과 함께 사용되다가 철기가 보편화되는 기원전후에 소멸된 것으로 보인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