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814. 6. 25, 프랑스 메츠 |
---|---|
사망 | 1896. 5. 29, 파리 |
국적 | 프랑스 |
요약 프랑스의 지구화학자.
여러 지질학적 현상에 실험적 접근방법을 도입했다. 1838년 프랑스 오트랭 주에서 지방 광산기사가 되어 8년간 종사하면서 그 지역의 지질도 작성 준비를 하였고, 그후 스트라스부르대학교의 지질학·광물학 교수가 되어 지질학적·광물학적 작용의 연구를 위한 실험실을 세웠다. 1861년 파리 자연과학박물관 지질학 교수로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회원에 임명되었고, 이듬해에는 제국광산학교 교수로 임명되었다.
그의 최초의 연구는 광물합성, 온천에서의 광물형성, 이러한 발견의 광상 성인에 대한 응용을 다루었다. 또한 자갈·모래·이토의 형성에 관하여, 특히 절리와 단층의 형성에 관계된 암석의 갈라진 금, 암석의 변성작용과 편리(재결정작용과 얇고 불규칙한 박편의 형성)의 발달에 대해 실험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도브레는 1867~86년 광산부처 감찰감을 역임하였고 죽을 때까지 광산부처의 명예기관장으로 있었다.
그는 1869년 레지옹 도뇌르 훈장 수여결정자로 선출되었다. 그는 말년에 질병으로 고생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다량의 운석을 수집하였고 〈운석과 지구의 지질학적 구성 Météorites et la constitution géologique du globe〉(1886)이라는 저서를 출판하였다. 이 책에서 그는 운석 분류체계를 제시하였고, 운석의 조성, 운석과 지구 암석과의 관계에 대한 내용을 서술하였다. 또한 운석 모양의 변화는 그들이 대기 중을 통과할 때 일어난다고 설명하였다.
그는 석회암에 대한 지하수의 화학작용에 관한 연구를 1877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 〈지하수 Les Eaux souterraines〉에 수록하였다. 그의 가장 중요한 연구는 〈실험지질학에서의 광물합성 연구 Études synthétiques de géologie expérimentale〉(1879)이며 여기에는 그의 주요관심사가 반영되어 있다.
도브레이트(daubreeite)와 도브레라이트(daubreelite)라는 광물명은 그의 이름을 딴 것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과학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