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국립공원을 제외한 시·도의 자연경관을 대표할 만한 경승지로서 국가가 지정해 유지·관리하는 공원. 시·도 건설종합계획심의회의 심의와 내무부장관의 승인을 얻어 시장 또는 도지사가 지정한다. 공원의 효율적인 이용·보호를 위해 공원 계획을 결정하며, 자연보존지구·자연환경지구·농어촌지구·집단시설지구 등으로 구분한다. 관리는 시·도가 하고 지구설정 및 운영방식은 국립공원에 준한다. 도립공원은 중요 관광자원이 되고 있으며, 고용증대·국가재원 확보·국제수지 개선 등에 기여한다. 1970년 6월 금오산이 우리나라 최초의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후 남한산성·변산반도·모악산 도립공원 등이 지정되었다. 금오산도립공원은 기암괴석 등 자연경관이 빼어나며 사찰을 비롯한 유적이 많다. 모악산도립공원은 봄의 벚꽃과 가을의 감나무숲이 절경이며, 찬란한 불교문화를 지닌 금산사가 있다. 2009년 현재 우리나라의 도립공원은 31개소이다.
시·도 건설종합계획심의회의 심의와 내무부장관의 승인을 얻어 시장 또는 도지사가 지정한다. 공원의 효율적인 이용·보호를 위해 공원 계획을 결정하며, 국립공원과 마찬가지로 자연보존지구·자연환경지구·농어촌지구·집단시설지구 등으로 구분한다. 관리는 시·도가 하고 지구설정 및 운영방식은 국립공원에 준한다.
도립공원은 국립공원과 함께 중요 관광자원이 되고 있으며, 고용증대, 국가재원 확보, 국제수지 개선 등에 기여한다. 또한 관광객과 그 지역 주민과의 접촉·교류를 통해 문화와 역사의 전통에 대한 가치관과 민족애를 고취시킬 수 있다.
1970년 6월 금오산이 우리나라 최초의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후 남한산성·변산반도·모악산 도립공원 등 22개 도립공원이 지정되었다. 이 가운데 변산반도·월출산·치악산 도립공원이 각각 국립공원으로 승격되었으며, 화양동계곡이 속리산국립공원에 병합되었다. 현재 도립공원은 19개로서 대체로 산악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총면적은 714.9㎢에 달한다.
금오산도립공원은 기암괴석 등 자연경관이 빼어나며, 사찰을 비롯한 유적이 많다. 또 산정에는 외적 방어를 위해 축성한 2㎞의 산성이 있으며, 등산·휴양·관광지로 유명하다. 남한산성도립공원은 산성으로서는 유일한 도립공원이며, 서울시민을 비롯한 인근 주민들의 휴식공간과 교육여행의 장소로 알려져 있다. 모악산도립공원은 봄의 벚꽃과 가을의 감나무숲이 절경이며, 찬란한 불교문화를 엿볼 수 있는 금산사가 있다. 또한 과거에는 계룡산에 버금가는 신흥종교지역을 형성하기도 했다.
무등산도립공원은 서석대를 비롯한 암석과 원효계곡 등이 이루는 경치가 뛰어나다. 절이 많고 산록에서 재배되는 무등산 수박과 차가 유명하다. 덕산도립공원은 온천·수덕사·충의사가 있으며, 도립공원 중 유일하게 온천이 있는 곳이다. '충남의 알프스'라 불리는 칠갑산도립공원은 뛰어난 산세와 울창한 수림이 일품이다. 대둔산도립공원은 전라북도와 충청남도에 걸쳐 있는데, 전라북도의 대둔산도립공원은 기암괴석·절벽·숲이 어우러져 산세가 수려하며, 충청남도의 대둔산도립공원은 맑은 물과 계곡이 유명하다.
동해도립공원은 낙산도립공원이라고도 하며, 해안지형·해수욕장 등의 해안절경이 뛰어나다. 마이산도립공원은 돌을 쌓아 만든 마이산탑과 가을단풍이 유명하다. 가지산도립공원은 '영남의 알프스'라 불리며, 통도사를 비롯한 많은 절이 있다. 조계산도립공원은 송광산도립공원이라고도 한다. 울창한 숲과 계곡이 수려하며, 거찰 송광사 등이 있다.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두륜산도립공원은 섬·바다·산악·사찰이 어우러진 서남해안 일대를 감상할 수 있다. 선운산도립공원은 울창한 수림과 선운사 등이 유명하며,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동백나무숲이 있다.
팔공산도립공원은 6·25전쟁 당시 대구 방어를 위한 격전지로 유명하다. 울창한 수림과 계곡이 아름다우며, 동화사·파계사 등 절이 많은 곳이다. 문경새재도립공원은 예로부터 남부지방과 중부지방을 잇는 교통의 요지이며, 영남 제1관문인 주흘관, 제2관문인 조곡관, 제3관문인 조령관이 있다. 조령계곡을 비롯한 곳곳이 절경을 이룬다. 경포도립공원은 경포호·경포대 등 자연적·문화적 관광자원이 풍부하며, 주위에 설악산국립공원·오대산국립공원이 있어 관광객이 많다. 청량산도립공원은 기암괴석의 높은 봉우리들이 절경이며, 우리나라 3대 기악 중의 하나이다. 연화산도립공원은 울창한 소나무숲과 대나무밭 등이 있어 사철 경관이 뛰어나다.
이름 | 소재 | 지정연도 | 면적(㎢) |
금오산도립공원 | 경북 구미시·김천시·칠곡군 | 1970 | 37.9 |
남한산성도립공원 | 경기 성남시·하남시·광주군 | 1971 | 36.4 |
모악산도립공원 | 전북 김제시·전주시·완주군 | 1971 | 2.2 |
무등산도립공원 | 광주광역시, 전남 담양군·화순군 | 1972 | 30.2 |
덕산도립공원 | 충남 서산시·예산군 | 1973 | 21.0 |
칠갑산도립공원 | 충남 청양군 | 1973 | 32.0 |
대둔산도립공원 | 전북 완주군 | 1977 | 38.1 |
가지산도립공원 | 울산광역시, 경남 밀양시·양산시 | 1979 | 106.5 |
낙산도립공원 | 강원 양양군 | 1979 | 9.1 |
두륜산도립공원 | 전남 해남군 | 1979 | 34.6 |
마이산도립공원 | 전북 진안군 | 1979 | 16.9 |
선운산도립공원 | 전북 고창군 | 1979 | 43.7 |
조계산도립공원 | 전남 순천시 | 1979 | 27.4 |
대둔산도립공원 | 충남 논산시·금산군 | 1980 | 23.5 |
팔공산도립공원 | 대구광역시, 경북 경산시·영천시·군위군·칠곡군 | 1980 | 122.1 |
문경새재도립공원 | 경북 문경시, 충북 괴산군 | 1981 | 5.3 |
경포도립공원 | 강원 강릉시 | 1982 | 9.4 |
청량산도립공원 | 경북 안동시·봉화군 | 1982 | 48.8 |
연화산도립공원 | 경남 고성군 | 1983 | 28.7 |
태백산도립공원 | 강원 태백시 소도동 | 1989 | 17.4 |
팔영산도립공원 | 전남 고흥군 점암면 | 1998 | 9.9 |
천관산도립공원 | 전남 장흥군 | 1998 | 7.6 |
자료 :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관광지식정보시스템, 2005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