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농민생활

다른 표기 언어 農民生活

요약 농민을 대상으로 발행된 월간 잡지.

1928년 대한예수교장로회는 총회 안에 농촌부를 두고, 1929년 평양에 농민생활사를 차려 6월 14일이 잡지를 창간했다. 당시 평양에서는 미국인 선교사 D. N. 루츠가 농촌계몽운동에 힘쓰면서 농업에 관한 논문을 많이 발표했다. 이에 영향을 받아 평양을 중심으로 농촌 선교와 농촌계몽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사장은 정인과였고, 편집부장은 채필근, 영업부장은 선교사 G. S. 맥큔(한국 이름 윤산온[尹山溫])이 맡았다. 국판으로 출발했다가 4·6배판으로 바꾸었다. 1면을 3단으로 나누고, 한글 세로쓰기로 편집했다.

주요내용은 농사에 관한 과학적 지식과 품종 개발 및 소개 등 농민들에게 새로운 정보를 알려주는 것이었고, 기독교 사상을 담은 논설이나 수필도 많이 실었다. 1931년 4월 평양숭실전문학교의 농학강습소가 농과로 승격되면서, 주로 이 학교 교수들이 집필자로 참여했다. 장로교 총회의 농촌부에서 각 조직을 통해 널리 보급시켰는데, 1932년 9월에는 3만 8,500부를 발행했다.

1934년 발행권이 평양숭실전문학교 농과로 넘어갔다. 1936년 E. M. 모우리(한국 이름 모의리[牟義里]) 선교사가 사장이 되었고, 1938년에는 D. N. 루츠 선교사로 사장이 바뀌었다. 1942년 5월 일제가 외국선교사들을 추방하자, 조응천이 잡지 이름을 〈개로 皆勞〉로 바꾸고 계속 발행하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 해방 후 1953년 6월 서울에서 속간되었다. 이때 사장은 D. N. 루츠, 주간은 이장춘, 편집국장은 한락원이었다. 1956년 5월에는 발행소를 충청남도 대덕군에 있는 기독교연합봉사회로 옮겼는데, 이때 발행부수는 5,500부였다. 1968년 4월 1일 편집 겸 발행인에 다시 조응천이 오르면서 발행소를 서울로 옮겼다. 우리나라 농업을 근대화시키는 데 크게 이바지했으며, 그리스도교 전도와 지역사회 발전에도 한몫을 했다. 정확한 폐간 날짜는 알 수 없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출판

출판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농민생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