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산이나 들에 나무나 화초를 심어 푸르게 가꾸는 것.
식물에 의해서 민둥산 표면을 피복하는 것을 말한다. 농업 조경, 조림과 황폐지 복구 등의 분야에서 주로 인위적 수단으로 식생을 도입하지만 때로는 자연의 힘에 의한 식생 발달과 보전, 이용도 포함된다. 인위적 녹화에는 표면침식의 방지, 표토의 조성을 목적으로 발아 및 생육이 빠른 초본식물을 파종하여 급속히 민둥땅을 녹화하는 급속녹화가 있다. 우리나라는 일제강점기와 전쟁을 거치면서 황폐된 산지에 조림, 산림보호, 사방공사 등을 통하여 초목이 무성하게 자라는 산림녹화를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또한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녹지공간의 감소에 따라 도심 건물에 ‘옥상녹화’를 시행하고 있다. 옥상녹화는 도시열섬현상 완화, 냉난방 에너지 비용 절감, 도시소음 저감, 대기질 개선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