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청동기시대에서 초기철기시대에 이르기까지 사용된 민무늬토기의 한 형식.
토기의 입술 바깥에 단면원형·타원형·삼각형 등의 덧띠[粘土帶]를 말아붙여 입술부분을 보강한 토기로서 점토대토기라고도 한다.
덧띠를 따로 만들어 붙였기 때문에 덧띠부분만 떨어지는 경우도 많으며 덧띠 부근에는 손으로 누른 자국이 자주 관찰된다. 그릇 모양은 대전 괴정동에서 출토된 것처럼 밑바닥이 좁고 위로 퍼져올라가거나, 서울 응봉, 청원 비하리에서 출토된 것에서 보듯이 납작밑에 원통형의 몸체를 이루는데 모두 깊은 바리[深鉢]형에 포함된다.
한강 유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고 대구 연암산, 부산 조도, 삼천포 늑도, 전라남도 해남 군곡리 등지에서 다량으로 출토되며 경기 이북지역에서 출토된 예는 없다. 일본 규슈[九州]의 판부유적에서도 나타나고 있어 그당시 주민들의 이동과 문화교류 상황을 알 수 있다.
경기지방의 덧띠토기는 BC 5세기에 나타나 BC 4세기경에 성행했다고 여겨지며, 단면원형의 것으로부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면삼각형의 덧띠토기가 만들어졌다. 그런데 최근에 발굴된 경기도 일산의 새도시 개발지역에서는 BC 8세기 이전으로 올라갈 수 있는 덧띠토기가 나온 바 있다. 남부지방의 경우 단면원형의 덧띠토기는 BC 3세기경에, 단면삼각형의 덧띠토기는 BC 2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때에는 그릇의 최대 지름이 몸통 아래쪽에서부터 점차 위쪽으로 올라가고 있어 화분 모양과 비슷해지며 바탕흙은 종래의 민무늬토기보다 훨씬 단단해졌다.
덧띠토기는 쇠뿔모양손잡이토기·굽다리접시·검은간토기 등과 함께 나오는 예가 많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청동기시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