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826. 5. 31, 미국 코네티컷 험프리스빌 |
---|---|
사망 | 1906. 7. 17, 코네티컷 뉴헤이번 |
국적 | 미국 |
요약 미국의 작가.
사실주의를 표방한 작품을 쓴 미국 최초의 작가이다. 그의 〈라브넬 양의 개종 Miss Ravenel's Conversion from Secession to Loyalty〉(1867, 개정판 1939)은 남북전쟁을 가장 뛰어나게 그려낸 작품이다.
부유한 면제조업자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건강이 나빠서 대학에는 가지 못했으나 1848~49년 근동지방을 여행했다. 고향에 돌아와 학술적인 내용의 〈코네티컷 주의 인디언사 History of the Indians in Connecticut〉(1851)를 쓴 뒤, 유럽으로 가 1851~54년에 그곳에 살면서 프랑스 문학을 비롯한 유럽 문학작품을 많이 읽었다. 외국 경험을 담은 여행기로 〈동양과의 만남 Oriental Acquaintance〉(1856)과 〈유럽과의 만남 European Acquaintance〉(1858)이 있다.
남북전쟁이 일어나자 뉴헤이번에서 지원자들을 조직했고, 연방군의 대위가 되어 루이지애나와 셰넌도어 계곡에서 싸웠다. 전쟁이 끝난 뒤, 1866~67년 사우스캐롤라이나 그린빌에 있는 해방노예사무국의 책임자가 되었다. 전쟁과 그뒤의 경험을 자세하게 적어, 아내와 잡지사에 보낸 편지들이 〈한 지원자의 모험 A Volunteer's Adventures〉(1946)과 〈재건시대의 미국 장교 A Union Officer in the Reconstruction〉(1948)로 사후 출판되었다.
〈라브넬 양의 개종〉이 출판된 지 2년 뒤인 1869년, 〈네이션 The Nation〉(1월 9일자)에 〈위대한 미국 소설 The Great American Novel〉이라는 매우 중요한 글을 발표했다. 여기에서 그는 완전히 사실주의적인 미국 소설이 필요하다고 역설하면서도, 미국 사회는 너무 빨리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총체적으로 파악하기가 힘들어 사실주의 작품을 쓰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사우스캐롤라이나의 경험을 바탕으로, 전쟁 전 이 주(州)의 사회생활을 묘사한 소설 〈케이트 보몬트 Kate Beaumont〉(1872)와 전쟁 뒤의 변화를 그린 〈잔인한 단절 The Bloody Chasm〉(1881)을 썼다. 그외 〈정직한 존 베인 Honest John Vane〉(1875)과 〈엉망으로 망치다 Playing the Mischief〉(1875)는 율리시스 S. 그랜트 대통령이 통치하던 시절 워싱턴 D. C. 의 부패를 다루었다. 마지막 소설 〈연인의 반란 A Lover's Revolt〉(1898)은 미국독립전쟁을 그린 작품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