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대장

다른 표기 언어 large intestine , 大腸 동의어 큰창자

요약 맹장·결장·직장·항문으로 되어 있다. 대장은 길이 약 1.5m로 소장보다 더 넓고 짧다. 대장 윗부분에는 소장에서 나온 소화효소가 있어서 마지막 소화가 일어나며, 이곳에 있는 세균은 비타민 K·비타민 B12·비타민 B를 만든다. 대장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소화된 찌꺼기로부터 수분과 전해질을 흡수하고 배변 때까지 대변을 저장하는 것이다. 내용물을 휘저어서 소화 물질을 벽에서 흡수할 수 있도록 하며, 하루에 2~3번 정도 일어나는 대장운동을 통해 내용물을 항문으로 밀어보낸다.
고단백식품은 소장에서 빨리 소화되지만 식물 속에 들어 있는 셀룰로오스를 소화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소화운동과 효소작용이 필요하며 대장이 그 기능을 한다. 대장에 생기는 질병으로는 대장염과 같은 염증, 게실증, 양성·악성 종양 등이 있다.

대장(large intestine)

ⓒ BruceBlaus/wikipedia | CC BY 3.0

맹장·결장·직장·항문으로 되어 있으며 결장이라는 말이 대장 전체를 뜻할 때도 있다.

대장은 소장보다 더 넓고 길이가 짧으며 부드러운 내벽을 가지고 있다(사람의 대장은 길이가 약 1.5m인데 소장은 6.7~7.6m임). 대장의 윗부분에는 소장에서 나온 소화효소가 있어서 마지막 소화가 일어나며 또한 이곳에 살고 있는 세균은 비타민 K와 비타민 B12, 티아민 및 리보플라빈과 같은 비타민 B를 만들어낸다.

대장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소화된 찌꺼기로부터 수분과 전해질을 흡수하고(사람에서는 약 24~30시간 정도 걸림) 배변할 때까지 대변을 저장하는 것이다. 내용물을 휘저어서 소화된 물질을 벽에서 흡수할 수 있도록 하며 위대장반사라고도 하는 대장운동은 매우 격렬한 운동으로 하루에 2~3번 정도만 일어나는데 내용물을 항문으로 밀어보내는 역할을 한다.

초식동물의 대장은 대개 긴 편인데, 예를 들어 어린 개구리나 올챙이는 주로 식물을 먹고 살기 때문에 길고 매우 꼬불꼬불한 대장을 가지고 있지만 자라서 곤충을 잡아먹기 시작하면 대장의 길이가 짧아진다. 고기와 같은 고단백식품은 소장에서 빨리 소화되지만 식물 속에 들어 있는 질긴 셀룰로오스를 소화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소화운동과 효소작용이 필요하며 대장에서 이러한 기능을 해낸다. 신생아의 대장 속에는 비타민 K를 만드는 박테리아가 없기 때문에 비타민 K 부족으로 심한 출혈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므로 신생아가 스스로 비타민 K를 만들어낼 수 있을 때까지 몇 주일 동안 비타민 K를 보충해주어야 한다. 대장에 생기는 흔한 질병으로는 대장염과 같은 염증, 게실증, 양성 또는 악성 종양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소화계

소화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대장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