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설립 | 1967년3월 22일 |
---|---|
국가 | 대한민국 |
해체 | 1999년 11월 |
설립자 | 김우중 |
업종 | 자동차, 중공업, 전자, 건설, 무역, 물류, 금융 등 |
요약 주요 사업분야는 무역·건설·조선·중장비·자동차·전자·통신·컴퓨터·관광·호텔·증권업 등이었으며, 창업자는 김우중이다. (주)대우의 전신은 1967년 설립되었고 1974년 1월 대우전자(주)를 설립하고 1977년까지 대우엔지니어링(주), 대우조선공업(주)을 설립했다. 주로 수출사업에 주력하여 1975년 최다액 수출유공상, 1985년 30억 불 수출탑 등을 수상했으며,다양한 해외사업으로 탄자니아, 헝가리, 부다페스트, 에티오피아, 미얀마까지 지사를 개설했다. 무리한 차입경영과 확장경영으로 국내외 부채를 감당하지 못하여 1998년 그룹이 해체되고 김우중은 회장직에서 물러났다. 대우그룹으로 인해 주식시장이 폭락하고 채권을 떠안게 된 금융기관들이 부실의 늪에 빠지는 등 국민경제는 엄청난 타격을 입었다.
역사
1967년 설립된 대우실업이 모체로, 한때 재계 서열 2위에 올랐던 기업집단이다. 주요 사업분야는 무역·건설·조선·중장비·자동차·전자·통신·컴퓨터·관광·호텔·증권업 등이었으며, 창업자는 김우중(金宇中)이다. 처음에는 소규모 봉제품 전문 생산·수출 업체로 출발했다. 1970년대 봉제품 및 섬유제품의 수출호조와 경제고도성장에 힘입어 급속하게 발전하여 1975년 5월 종합상사가 되었다. 1970년대 들어 고려피혁(주), 쌍미섬유공업(주)과 동양증권을 인수하고, 대우전자(주)와 대우엔지니어링(주)을 설립하는 등 사업 영역을 다각화했으며, 1978년 옥포조선(주)을 인수하고, 같은 해 9월 대우조선공업(주)을 설립하는 등 조선업계에도 진출했다.
1977년 6월 기업을 공개, 주식을 증권거래소에 상장한 이후 1995년말까지 1억 1,309만 6,623주를 발행했다. 1981년말 해외건설의 확대와 수주대형화를 위해 대우개발(주)을 흡수·합병하면서 상호를 대우실업(주)에서 (주)대우로 변경했다. 주로 수출사업에 주력하여 1975년 최다액 수출유공상, 1979년 10억 불 수출탑, 1982년 20억 불 수출탑을 수상했으며, 1985년 30억 불 수출을 달성했다. 해외사업으로는 1987년 4월 미수교국인 탄자니아에 국내 최초로 진출했으며, 1988년 1월 헝가리와 합작으로 무역금융 및 호텔사업 회사를 설립하고 부다페스트와 동독 베를린에 지사를 설치했다. 또한 1989년에는 중국 푸저우(福州), 에티오피아, 미얀마에 각각 지사를 개설했다.
1992년 10월 합작사업 승인을 시작으로, 1995년 12월말 국내 기업 중 최초로 남포에 민족산업총회사라는 합영회사를 설립하는 등 남북경협을 선도했다. 그러나 무리한 차입경영과 확장경영으로 국내 60조 원, 해외 30조 원 등 총 90조 원에 달하는 부채를 감당하지 못하여 1998년 그룹이 해체되고 김우중은 회장직에서 물러났다. 대우그룹으로 인해 주식시장이 폭락하고 채권을 떠안게 된 금융기관들이 부실의 늪에 빠지는 등 국민경제는 엄청난 타격을 입었다. (주)대우의 주요 사업내용은 수출입업·구상무역·삼국간무역·특수복합거래·금융·자원개발·국내외 투자사업·해외투자 프로젝트 등이었다. 무리한 차입경영과 확장경영으로 국내외 부채를 감당하지 못하여 1998년 그룹이 해체되고 김우중은 회장직에서 물러났다. 대우그룹으로 인해 주식시장이 폭락하고 채권을 떠안게 된 금융기관들이 부실의 늪에 빠지는 등 국민경제는 엄청난 타격을 입었다.
연혁
• 1967년 3월 22일 : 대우실업(주) 설립
• 1972년 : 고려피혁(주) 인수.
• 1973년 : 동양증권(주) 인수. 대우건설(주) 설립.
• 1974년 : 대우전자(주) 설립. 대우빌딩 착공.
• 1975년 : 대우실업(주), 종합무역상사 지정.
• 1976년 : 한국기계공업(주) 인수. 10월 해외건설업면허 취득. 대우중공업(주) 출범.
• 1977년 : 대우센터 빌딩 준공. 8월 제철화학(주) 경영권 인수.
• 1978년 : 산업은행으로부터 새한자동차(주) 지분 인수. 대한조선공사 옥포조선소 인수 후 9월 대우조선공업(주) 설립.
• 1981년 : 옥포조선소 준공. 수출의날 15억불탑 수상. 대우실업(주) 및 대우개발(주) 합병 결의.
• 1982년 : 모기업 (주)대우 출범. 수출의날 20억불탑 수상.
• 1983년 : 대우자동차(주) 출범. 대우전자(주)에서 대한전선(주)의 가전부문을 흡수. 대우통신(주) 설립.
• 1984년 : 경남기업(주) 경영 참여. (주)대우경제연구소 설립. 10월 대우자동차부품(주) 설립. 대한민국 최초 VTR 수출.
• 1995년 5월 : 대북 협력사업 정부승인 획득.
• 1995년 6월 : 다이너스카드사 인수.
• 1995년 7월 : 동우개발(주)의 사명을 (주)대우개발로 변경.
• 1996년 5월 : 남북경협 최초회사 민족산업총회사 남포에 설립.
• 1997년 12월 : 한국전기초자(주) 인수.
• 1998년 1월 : 대우자동차(주), 쌍용자동차(주) 인수.
• 1998년 5월 : 스페인 냉장고 공장 설립.
• 1998년 6월 : 우크라이나 자동차 법인 AUTOZAZ-DAEWOO 공장 본격 가동.
• 1998년 7월 : 미국 <포춘> 지 선정 매출 500대 기업 중 세계 18위의 기업으로 도약.
• 1998년 10월 : 대우중공업(주) 이집트공장 준공.
• 1998년 11월 : 무역의 날 150억불 수출의 탑 수상.
• 1998년 11월 : 대우그룹 1차 구조조정안 발표.
• 1999년 4월 19일 : 대우 2차 구조조정안 발표. (대우 조선, 상용차, 힐튼호텔 등 매각)
• 1999년 7월 16일 : 대우그룹 구조조정안 발표.
• 1999년 8월 3일 : 제일은행 등 채권단 구조조정안 반려.
• 1999년 8월 16일 : 대우 채권단, 재무구조개선 수정약정 체결.
• 1999년 8월 26일 : (주)대우, 대우중공업(주), 대우자동차(주), 대우전자(주) 등 12개 회사 워크아웃 돌입.
• 1999년 8월 30일 : 대우증권(주) 계열 분리, 채권단으로 이양.
• 1999년 10월 18일: 김우중 회장, 중국 옌타이 대우자동차 부품공장 준공식 참석.
• 1999년 11월 1일 : 대우 회장 및 대우그룹 사장단 퇴진.
제품 및 현황
1996년 당시의 그룹 계열회사로는 건설과 무역 부문을 공유하고 있는 복합기업 성격의 종합상사로서 대우그룹의 모기업이자 수출입창구인 (주)대우를 비롯해 엔진·철도차량·공작기계·건설중장비·소형승용차·선박·플랜트 생산업체인 대우중공업, 자동차 생산업체인 대우자동차, 자동차부품 제조업체인 대우정밀·대우기전공업·코람플라스틱, 전자 전기 및 반도체 관련업체인 대우전자·대우전자부품·오리온전기·오리온전기부품, 컴퓨터 및 통신기기 관련업체인 대우통신, 종합건설업 및 건설자재 생산업체인 경남기업·경남금속, 소프트웨어 개발 및 판매업체인 대우정보시스템, 소형모터제조업체인 대우모터, 호텔 및 관광업체인 대우개발, 증권 및 투자업체인 대우증권·대우경제연구소·대우투자자문을 비롯해 총 25개 기업이 있었으나 해체되어 (주)대우에 합병되거나 매각되었다. 그밖의 관련법인으로는 대우재단이 있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참고
・ 최종 업데이트 2016.06.30.
기업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