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37

다른 표기 언어 大方廣佛華嚴經 晋本 卷三十七
요약 테이블
문화재 지정 국보(1981.03.18 지정)

요약 동진의 불타발타라가 한역한 〈화엄경〉 진본 60권 중 권37을 새긴 고려시대 목판본. 권말에 있는 '고려협천호장동정이필선 상보사은 하자삼유지원 시재조판화엄경제삼십칠권 시수창사년오월일기'라는 간기를 통해 1098년 합천의 이필선이 재산을 내어 권37을 만들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하 단변이며 계선이 없고, 1행에 17자씩 썼다.

국보(1981.03.18 지정). 1권 1축. 세로 26㎝, 가로 768.3㎝. 이원기(李元基) 소장. 권말에 있는 '고려협천호장동정이필선 상보사은 하자삼유지원 시재조판화엄경제삼십칠권 시수창사년오월일기'라는 간기를 통해 1098년(숙종 3) 합천의 이필선(李必先)이 재산을 내어 권37을 만들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하 단변이며 계선이 없고, 1행에 17자씩 썼다. 조각수법과 인쇄가 모두 우수하며, 단향목으로 만든 권축의 양끝에는 홍칠이 선명하게 남아 있다. 이 목판본은 연대가 확실하므로 같은 시기에 같은 판식으로 된 다른 경본의 연대를 추정하는 데에 크게 도움이 된다. 진본 60권 중 권4(1981.03.18 지정), 권28(1981.03.18 지정), 권38(1994.01.05 지정)은 각각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고려

고려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37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