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문화재 지정 | 국보(1981.03.18 지정) |
---|
요약 동진의 불타발타라가 한역한 〈화엄경〉 진본 60권 중 권37을 새긴 고려시대 목판본. 권말에 있는 '고려협천호장동정이필선 상보사은 하자삼유지원 시재조판화엄경제삼십칠권 시수창사년오월일기'라는 간기를 통해 1098년 합천의 이필선이 재산을 내어 권37을 만들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하 단변이며 계선이 없고, 1행에 17자씩 썼다.
국보(1981.03.18 지정). 1권 1축. 세로 26㎝, 가로 768.3㎝. 이원기(李元基) 소장. 권말에 있는 '고려협천호장동정이필선 상보사은 하자삼유지원 시재조판화엄경제삼십칠권 시수창사년오월일기'라는 간기를 통해 1098년(숙종 3) 합천의 이필선(李必先)이 재산을 내어 권37을 만들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하 단변이며 계선이 없고, 1행에 17자씩 썼다. 조각수법과 인쇄가 모두 우수하며, 단향목으로 만든 권축의 양끝에는 홍칠이 선명하게 남아 있다. 이 목판본은 연대가 확실하므로 같은 시기에 같은 판식으로 된 다른 경본의 연대를 추정하는 데에 크게 도움이 된다. 진본 60권 중 권4(1981.03.18 지정), 권28(1981.03.18 지정), 권38(1994.01.05 지정)은 각각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고려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37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