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대구대학교

다른 표기 언어 Daegu University , 大邱大學校
요약 테이블
설립 1956년 5월 1일
유형 사립 종합대학
설립자 이영식
소재지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대구대로 201
사이트 http://www.daegu.ac.kr

요약 학교법인 영광학원이 운영하는 사립 종합대학. 평생 동안 나환자들을 위해 헌신한 이영식 목사가 설립한 대구맹아학원을 전신으로 발전해왔다. 사회복지학과와 특수교육과, 언어치료학과 등을 개설했으며 지금도 관련 학과들은 전국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개요

경상북도 경산시에 소재한 학교법인 영광학원이 운영하는 사립 종합대학. 평생 나환자와 장애인, 교도소 수감자들을 위해 헌신했던 이영식 목사가 장애인을 교육시키고 보호하는 지도자의 양성을 위해 대구맹아학원으로서 설립했다. 홍익인간의 이념과 '사랑·빛·자유'의 기독교 정신에 입각하여, 복지사회의 실현에 기여할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

대구대학교

대구대학교 경산 캠퍼스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연혁 및 변천

설립자 이영식 목사는 1946년, 사회적 약자에 대한 사랑과 기독교 정신의 실현을 위해 대구맹아학원을 설립했다. 이후 대구맹아학원을 모체로 1958년 한국사회사업학교로 발전하게 되었다. 한국사회사업학교는 1961년 대학으로 승격되었고, 이로써 사회복지와 특수교육 분야의 전문가와 지도자를 양성하기 위한 고등교육기관으로 발돋움했다.

군사정부 시절에는 대학정비령에 의해 1962년 초급대학으로 격하되었으나, 1964년 학교법인 영광학원 한국사회사업대학으로 복구되었다. 1970년대에는 학생 모집과 재정난으로 인해 시련을 겪기도 했다. 그러나 이 시기에 지금의 경산캠퍼스 부지를 확보했고, 학부제와 대학원을 설치하여 종합대학으로의 면모를 갖추었다. 1980년 한사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했다가, 종합대학으로 승격된 뒤 다시 대구대학교로 개칭했다.

1980~90년대에는 중심 대학 기관을 대명동캠퍼스에서 경산캠퍼스로 이전했으며, 학과와 단과대학 및 대학원을 확장하고 부설 연구소를 신설하는 등 대학 발전을 위한 원동력을 마련했다. 2000년대에는 대구경북지역의 중심 대학으로서 내실화를 다졌으며, 세계화를 위해 해외연수생을 파견하고 유학생을 유치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전개했다.

대학 조직

대학에는 인문대학·법과대학·행정대학·경상대학·사회과학대학·자연과학대학·공과대학·정보통신대학·생명환경대학·조형예술대학·사범대학·재활과학대학·기초교육대학·평생교육대학 등 14개 단과대학과 간호보건학부가 개설되어 있다. 대학원에는 일반대학원과 사회복지대학원, 특수교육대학원, 재활과학대학원 등 6개 전문대학원을 갖추고 있다.

이밖에 부속기관으로 창파도서관·점자도서관·중앙박물관·정보통신원·언론출판문화원·공학교육혁신센터·비호생활관·재활과학원·중앙기기원·영덕연수원·가족행복지원센터·정신건강상담센터·기독교교육관·제145학군단·예비군연대·평생학습대학·평생교육원·정보보호영재교육원 등이 있다. 산하 센터로는 창업보육센터, 산학협력지원센터, 경북테크노파크 대구대학교특화센터, 경북유비쿼터스 신기술연구센터가 있다.

현황

경산캠퍼스는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대구대로 201에 소재하며, 대명동캠퍼스는 대구광역시 남구 성당로50길 33에 소재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대구대학교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