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대들보[大樑]·종보[宗樑] 등의 보 위에 놓여 그 상부의 보나 도리를 받쳐주는 부재.
형태나 형식에 따라 동자대공(童子臺工)·접시대공·화반대공(花盤臺工)·포대공(包臺工)·판대공(板臺工)·인자대공(人字臺工) 등으로 나뉜다.
동자대공은 대들보나 종보 위에 놓여 중도리나 상중도리를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동자주 모양의 각재로서 대공 중에서 가장 간단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모양이 단조롭기 때문에 천장을 가설해 가리는 경우에 많이 쓰인다. 접시대공은 판재를 층층이 쌓아올려 도리를 받도록 된 대공으로서 아래로부터 큰 부재를 써서 차차 위로 올라가면서 작아지는 형식도 있고, 반대로 위쪽으로 가면서 넓어지는 형식도 있다. 연등천장일 경우에는 토막으로 조각을 하여 치장하나 천장으로 가릴 때에는 토막나무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짜임에는 보 방향으로만 쌓는 것, 보와 도리의 방향 즉 십자형으로 쌓아 올리는 것의 2가지 형식이 있다. 화반대공은 초새김한 화반으로 이루어진 대공으로서 앙련대공(仰蓮臺工)·파련대공(波蓮臺工)·복화반(覆花盤)·안초공(按草工) 등이 있다. 조선 중기 이후에는 앙련대공이 많이 쓰였고, 고려말 조선 초기의 건물에는 파련대공이 많다. 복화반은 드물어 현재 봉정사 극락전에서 볼 수 있는 정도이고 신라시대의 석조물에 약간 남아 있을 뿐이다. 포대공은 대공을 공포처럼 짠 것으로서 그 짜임이 간단한 것부터 복잡한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포대공은 일반적으로 중보의 받침에 사용하고 종대공에는 사용하지 않으며, 그 세부수법은 시대를 판별하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 부석사조사당(浮石寺祖師堂)이나 수덕사대웅전(修德寺大雄殿) 등에 사용되었다. 판대공은 토막나무를 중첩하여 쌓아올린 것으로 그 형태는 사다리꼴이며 조각을 하지 않는다. 인자대공은 그 형태가 '人'자 모양으로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보이고, 현존건물로는 부석사 무량수전에서 찾아볼 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건축양식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