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대가야

다른 표기 언어 大加耶

요약 지금의 고령지방에 있었던 가야.

대가야란 명칭은 〈삼국유사〉 가락국기에서는 금관가야를 지칭하는 것으로, 〈삼국사기〉 지리지에서는 고령지방에 존재한 가야를 지칭하는 것으로 나온다. 학계에서는 대체로 〈삼국사기〉의 견해를 따르고 있다.

가야

가야 위치도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니혼쇼키 日本書記〉에는 가라라 나오기도 하며, 구체적으로 반파국이라 칭해지기도 했다. 대가야에 대한 기록은 〈삼국사기〉 지리지에 시조 이진아고왕으로부터 도설지왕까지 16대 520년간 지속되었다는 것과 〈동국여지승람〉 고령현조에 시조탄생설화가 나오는 정도이다. 대가야에 강력한 정치세력이 존재했다는 것은 고령의 지산동 고분군의 존재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이러한 정치세력이 이 지역에 본격적으로 대두한 시기는 대체로 5세기 후반경이었다고 보고 있다.

금관가야를 중심으로 한 전기 가야연맹이 해체된 이후, 이들 세력들이 낙동강을 거슬러 올라와 대가야를 중심으로 한 정치세력을 형성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흔히 후기가야연맹이라 부른다. 이후 대가야는 6세기에 삼국 관계에 직접 영향력을 행사하는 정도로 성장하기도 했으나 562년(진흥왕 23) 결국 신라에 완전 복속되고 말았다.→ 가야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가야

가야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4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경상북도 고령 지산동 대가야 고분군


[Daum백과] 대가야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