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당대 가무

다른 표기 언어 song and dance during the T'ang dynasty , 唐代歌舞

요약 중국 당대(618~907)의 노래와 춤.

당대에는 가무예술이 매우 번성했다. 당대 초기 궁정의 연악에 9부악을 두었다가 후에 10부로 늘렸다.

맨 처음 것을 연악이라 부르고 순서대로 청상·서량·고창·귀자·소륵·강국·안국(安國)·부남·고려라고 했으며 맨 마지막은 민간의 가무희로 마무리했다. 10부악은 중원의 음악을 중심으로 했고, 소수민족과 외래의 악무도 있었다. 당 현종(玄宗) 때 다시 악대를 입부기와 좌부기로 나누어 각 민족의 음악과 무용이 장기간에 걸쳐 교류하면서 하나로 융합되었음을 나타냈다.

당대 가무는 음악·무용·시가를 결합시킨 여러 단락의 가무형식 대곡이 가장 유명하다. 그 작품으로는 〈검기 劍器〉·〈양주 凉州〉·〈예상우의 霓裳羽衣〉·〈척기 拓技〉 〈혼탈 渾脫〉·〈파진락 破陣樂〉·〈춘앵전 春鶯囀 등이 있다. 풍격의 차이에 따라 다시 빠르고 힘찬 건무와 유연하고 서정적인 연무로 나뉘는데, 〈척기〉·〈녹요 綠腰〉 가 그 예이다. 민간 가무 가운데는 〈오방사자무 五方獅子舞〉 같이 줄거리가 없는 것도 있다. 또 고사를 상연한 것으로 〈답요랑 踏搖娘〉 등이 있다.

민간가무와 각종 기예를 합쳐 공연하는 것을 '산악'이라고 했는데, 산악도 후에 궁정에 흡수되어 연악에 속하게 되었다. 당대에는 악무 관리기구인 태상시·교방·이원이 있어서 배우들을 전문적으로 관리하고 훈련시켰다. 당대 가무는 우리나라와 일본 등의 음악과 무용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당대 가무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