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단소

다른 표기 언어 短簫

요약 퉁소보다 조금 작으며 세로로 잡고 부는 국악기.

단소(短簫)

한국의 전통 관악기 중의 하나이다.

ⓒ 클립아트코리아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클립아트코리아에 있으며,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원래 소(簫)라는 악기는 세로로 잡고 부는 종적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가로로 잡고 부는 횡적을 가리키는 적(笛)과 비교되어 쓰인다. 단소가 언제부터 우리 음악에 쓰이기 시작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성종 때의 〈악학궤범〉이나 영조 때의 〈증보문헌비고〉에도 언급되지 않은 점으로 보아 조선 후기에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순조 때 청에서 들어왔다고도 하지만 분명하지 않다.

단소의 음률이 향악과 어울리고, 오늘날 단소가 쓰이는 음악도 향악에 한정되기 때문에 오히려 우리 음악을 연주하기 위해 만들어진 악기로 보아야 할 것이다. 단소는 오죽을 사용하여 모든 마디를 관통시키고 40㎝ 정도로 자른다. 한쪽 끝이 U자 모양의 5개 지공으로 되어 있는데 제1공은 뒷면에, 나머지는 앞면에 있다. 제5공은 잘 사용하지 않고 4개를 주로 사용해 연주한다. 음역은 2옥타브가 넘고 음색이 청아해 독주 악기로 쓰거나 음색이 비슷한 생황과 함께 연주하기도 한다. 시조반주에는 높이를 4도 낮게 만든 평조 단소가 사용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관악기

관악기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단소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