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천을 다듬는 전래방식의 하나.
옷이나 이불호청 등을 세탁한 후 풀을 먹여 약간 말려 손질한 다음 다듬잇돌 위에 올려놓고 방망이로 두드린다. 풀을 먹여 두드리면 천이 견고해지고 매끄럽게 된다. 골고루 두드리기 위해서는 여러 번 접어가면서 윤이 나도록 다듬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자연섬유 특유의 광택과 촉감을 살릴 수 있다.
다듬잇돌은 옷감을 다듬을 때 밑에 받쳐놓는 돌로 결이 단단하고 매끄러운 돌로 만든다. 중앙부분이 약간 위로 올라와 완만한 곡선을 이룬 장방형으로 윗면은 반드럽게 손질되어 있다. 양쪽 밑으로는 손을 넣어 들 수 있도록 둥그런 홈이 파여 있다. 다듬이 방망이는 박달나무같이 단단한 나무를 깎아서 쓴다.
다듬이질은 우리나라 생활풍습상 매우 운치있는 멋의 하나이다. 흔히 아낙네들은 품앗이로 넓은 대청에 모여 이불 호청을 마주 붙들고 잘 접어 다듬잇돌 위에 올린 후 발로 밟고 올라 다져서 천을 가지런히 해두고 방망이질을 한다. 혼자서 하는 경우도 있지만 서로 마주보며 두드린다. 깊은 밤 다듬이질 소리가 아련히 들리는 풍치는 예로부터 많은 시인과 묵객들의 시에도 등장했다. 당시에도 "바람결에 곳곳에서 다듬잇소리"라 했으니 다듬이질은 예로부터 중국에서도 성했다.
〈규합총서 閨閤叢書〉에는 "진홍다듬기는 대왐풀에 아교를 섞어 먹이고, 무명과 모시는 풀을 매우 세게 말아야 하고, 옥색은 대왐풀로 다듬되 아무 풀도 먹이지 말고, 야청은 아교풀을 먹인다"고 하여 다듬이질의 세세한 면을 언급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