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노국대장공주

다른 표기 언어 魯國大長公主 동의어 노국대장공주 패아지근씨, 魯國大長公主 孛兒只斤氏, 보르지긴 부다시리, 왕가진, 王佳珍, 인덕공명자예선안왕태후, 仁德恭明慈睿宣安王太后, 휘의노국대장공주, 徽懿魯國大長公主, 인덕공명자예선안휘의노국대장공주, 仁德恭明慈睿宣安徽懿魯國大長公主, 인덕태후, 仁德太后, 보탑실리
요약 테이블
출생 미상
사망 1365(공민왕 14)
국적 고려, 한국

요약 고려 제31대 공민왕의 비.

서울 마포 고려 공민왕 내외 영정

ⓒ Prix/wikipedia | Public Domain

원의 황족 위왕의 딸이다. 이름은 보탑실리이다. 1349년(충정왕 1) 공민왕이 대군으로서 원나라에 숙위하고 있을 때 결혼하여 승의공주로 책봉되었다. 공민왕이 원의 후원으로 충정왕을 퇴위시키고 왕위에 오르자 함께 귀국했다. 공민왕은 노국공주를 매우 사랑하여 1365년(공민왕 14) 2월 공주가 만삭이 되자 죄수를 풀어주고, 이어 난산으로 병이 위중해지자 다시 대사면령을 내려 공주의 쾌유를 빌었다.

공주가 죽은 뒤 사도감과 13색을 설치하여 후하게 장례를 치르도록 했고, 각 관사에 명하여 풍성하고 정결히 제수를 차리는 자에게 상을 내렸다. 또한 능을 호화롭게 꾸며 정릉이라 하고, 노국대장공주라는 시호를 내렸다. 공민왕은 그뒤에도 공주의 죽음을 애도하여 혼제를 지내고 화려한 영전을 지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2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개풍 고려 공민왕릉 중 노국공주 정릉 정면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노국대장공주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