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미상 |
---|---|
사망 | 1570(선조 3) |
국적 | 조선, 한국 |
요약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의령. 자는 근지. 명종 때 남해안에 침입한 왜구를 무찔러 공을 세웠다. 증조부는 좌의정 지(智), 아버지는 증 병조판서 구이다. 엄용공에게 배웠다. 1528년(중종 23) 식년무과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명종초 함경도병마절도사·동지중추부사를 지냈다.
1552년(명종 7) 제주목사가 되어 제주를 노략질한 왜구를 무찔렀다. 1555년 을묘왜변이 일어나자, 전라도방어사로 이준경(李浚慶)과 함께 남평·녹도에서 왜구를 크게 무찔렀다. 이 공으로 전라도병마절도사에 오른 뒤 이듬해 다시 침입해온 왜구를 격퇴했다.
1558년에는 전라도순변사가 되어 해변방위를 강화하는 등 왜구침입에 대한 방어태세에 만전을 기했다. 1560년 한성판윤이 되었으며, 황해도를 중심으로 한 임꺽정(林巨正)의 항쟁이 일어나자 1562년 경기·황해·평안의 삼도토포사로 그를 잡아 목을 베었다. 시호는 무양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