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경기도 화성시 남양동·비봉면·송산면·서신면·마도면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삼한시대에 마한의 원양국(爰襄國)과 상외국(桑外國)의 위치로 비정되고 있다. 삼국시대에는 백제(고구려라고도 함)의 당항성이었다. 통일신라 때에는 757년(경덕왕 16)에 당은군(唐恩郡)으로 고치고, 쌍부(雙阜)·정송(貞松)·안양(安陽) 등을 영현(領縣)으로 관할했다. 헌덕왕 때에 현으로 강등되었다가 822년(헌덕왕 14)에 수성군(水城郡:수원)에 병합되었으나 829년(흥덕왕 4)에 분리하여 당성진을 설치했다.
고려초인 940년(태조 23)에 군으로 고쳤다가 1018년(현종 9)에 수주(水州:수원)의 속현이 되었으며, 후에는 인주(仁州:인천)의 속현이 되었다. 1172년(명종 2)에 감무를 둠으로써 독립했다. 이무렵 재양현(載陽縣:본래 安陽縣. 신라 때 안양군, 고려시대에 재양으로 개칭. 1018년에 수주, 후에 인주에 소속됨)이 합속되었다. 1290년(충렬왕 16)에 익주(益州)로, 후에 강령도호부(江寧都護府)로, 다시 익주목(益州牧)으로 계속 승격되었다가 1310년(충선왕 2)에 남양부로 강등되었다. 조선초의 군현제 개편으로 1413년(태종 13)에 남양도호부가 되었다. 남양에는 세조~성종대까지 경기수군절도사영이 화량진(花梁鎭)에 설치되어 경기도 해안방어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1644~53년, 1665~74년에 잠시 현으로 강등되기도 했다. 1792년(정조 16)에 수원진을 남양으로 옮겨 설치했다. 별호는 영제(寧堤)·과포(戈浦)였다. 지방제도 개정으로 1895년에 인천부 남양군, 1896년에 경기도 남양군이 되었다. 1906년 월경지 정리에 따라 수원의 두입지인 팔탄·분향·장안·초장·압정·오정 등 6개면이 남양군에 이관되었으나, 1914년 군면 폐합에 의하여 남양군이 폐지되어 수원군에 병합되었다. 이때 음덕리면·화척지면·둔지곶면이 은덕면으로, 쌍수면·마도면이 마도면으로, 송산면·수산면·세곶면이 송산면으로, 서여제면·신리면이 서신면으로, 어지곶면·저팔리면이 비봉면으로, 수원군에서 편입했던 6개면은 팔탄면·장안면·우정면으로 통합되어 다시 수원군에 편입되었다.→ 화성시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경기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