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낙성관지의 준말이다. 서명과 제작일시만 적는 단관, 누구를 위해서 그렸다는 등의 언급을 하는 쌍관, 작자가 아닌 사람이 나중에 기입한 후낙관이 있다. 낙관의 위치와 서체는 작품의 전체 분위기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서예는 글씨가 끝난 곳에, 그림은 화면의 상단부 여백에 쓰는 것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
중국 송대부터 서화에 낙관이 등장했으나 눈에 띄지 않는 곳에 적었다. 원대에 문인화의 성행으로 시서화일치 풍조가 팽배하면서 화면 위에 본격적으로 등장했으며 명대부터 일반화되었다. 그러나 궁정용 원체화를 비롯한 실용화·장식화·기록화 등에는 낙관을 하지 않는 것이 관례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후기까지 낙관의 사용이 그다지 활발하지 않았다. 낙관은 작품의 제작연대·제작배경 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낙성관지'(落成款識)의 준말로 중국 옛 청동기의 각명에서 음각자(陰刻字)를 '관'(款), 양각자(陽刻字)를 '지'(識)라고 한 데서 유래되었다. 관은 관기 또는 관서라고도 하며 서명과 제작일시만 적는 경우는 단관, 누구를 위해서 그렸다는 등의 언급을 하는 경우는 쌍관, 필자가 아닌 사람이 나중에 기입한 낙관은 후낙관이라고 한다. 서화가 아닌 기물에 있는 서명도 낙관이라 할 수 있지만 보통 명이라 부른다.
관지의 위치와 서체는 서화의 일부분으로 중요한 구실을 하기 때문에 작품의 전체 분위기와 조화를 이루도록 세심한 배려를 해야 한다. 제관론(題款論)에 의하면 서예는 글씨가 끝난 곳에, 그림은 화면의 상단부 여백에 쓰는 것이 좋다고 했다. 서화에서 관지의 등장은 중국 송대(宋代)부터이나 나무뿌리나 바위틈같이 눈에 띄지 않는 곳에 적었다. 원대(元代)에 문인화의 성행으로 시서화일치(詩書畵一致) 풍조가 팽배하면서 제시(題詩) 등과 함께 화면 위에 본격적으로 대두하기 시작했으며 명대부터는 일반화되었다. 그러나 궁정용의 원체화(院體畵)를 비롯한 실용화·장식화·기록화 등에는 낙관을 하지 않는 것이 관례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후기까지 관지의 사용이 그다지 활발하지 못했는데, 이러한 풍조에 대해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덕무(李德懋)는 〈청장관전서 靑莊館全書〉를 통해 비판한 바 있다. 관지는 작품의 작자는 물론 제작일시와 경위 등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아 작품의 제작연대·제작배경 등을 아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미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