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다른 표기 언어

요약 문양이 성근 얇은 여름용 비단의 일종.

삼국시대부터 짜기 시작했으며 4가닥의 날실을 한 단위로 하기 때문에 비교적 조직이 복잡하다. 〈설문 說文〉과 〈이아 爾雅〉에서는 나를 '새의 그물'이라고 했고, 〈석명 釋名〉에서는 '무늬가 있으며 직물의 밀도가 성긴 것'이라고 했는데, 중국에서는 한대(漢代)부터 짜기 시작했다고 한다.

우리나라 고구려에서는 자라·백라·청라·강라, 백제에서는 오라를 사용했으며, 신라에서는 야초라·포방라·승천라·월라·금라·계라·오색라 등 다양한 종류를 생산했다. 〈고려사〉·〈고려사절요〉·〈동국통감〉 등의 기록에 의하면 고려시대에는 소금홍매화라·자라·홍라 등을 중국의 송(宋)이나 원(元)과 주고받았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도 사라능단이라 하여 비단의 일종으로 많이 애용되었다.

조선 후기의 〈국혼정례 國婚定例〉·〈상방정례 尙方定例〉·〈궁중발기 宮中發記〉와 같은 문헌에 기록된 다양한 색상의 나와 윤주라·모라·항라·숙항라·은라·추라 등 직조법을 달리한 나를 통해 더욱 다양한 변화와 발전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오늘날에는 봄철이나 여름철 한복감으로 항라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