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경기도 북서부에 있는 김포시의 산업 현황과 교통 현황.
총 경지면적 7,159ha 가운데 논이 5,115ha, 밭이 2,045ha이며, 벼농사가 주산업이다(2020). 농가구는 매년 줄어들고 있으며 농업외소득에 의존하는 농가가 늘어나고 있다. 수리안전답은 96%로서 수리시설이 비교적 잘 이루어졌다. 고촌면 신곡리의 신곡관리소양배수장에서 양수된 용수는 간선수로를 통해 김포평야 일대를 관개한다.
주요 농산물은 쌀·보리·콩·감자·고구마·옥수수·조·팥·채소류이다. 특히 쌀은 연간 약 2만 5,236.2t(2019)이 생산되며, 반 이상이 다른 지역으로 반출된다. 1970년대 중반부터 화초·과수·채소 등을 재배하는 근교농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농한기에는 밭과 논을 이용한 비닐하우스 재배가 활발하다. 원예작물로 토마토·수박·참외·오이·딸기 등이 생산되며, 특용작물로 참깨·들깨·아주까리·해바라기·인삼 등이 생산된다. 특히 인삼 생산량은 전국적인 규모이나 경작면적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
축산업은 소규모이지만 낮은 구릉지대와 한강변의 넓은 초지가 목장으로 개발되었다. 김포, 양촌을 중심으로 한우·젖소·돼지·산양·사슴·닭·꿀벌 등이 사육된다. 임야면적은 전체면적의 29.0%이며, 표고·영지버섯 재배단지를 조성하여 산지의 이용도를 높이고 있다. 밤·대추·도토리·은행·산나물 등이 생산된다.
수산업은 휴전선에 가까운 어로금지구역에 해당하므로 경기만에 접해 있는 양촌면·대곶면의 일부 지역에서만 행해진다. 어가구는 2015년 278가구였으나 2020년 34가구로 급격하게 줄어들었다. 웅어·숭어·장어·새우·게·굴 등이 잡힌다. 현재 시내에서 가동되는 광산은 없다.
1980년대부터 수도권의 제조업체가 본격적으로 이주하면서 총제조업체수는 1982년 152개에서 1990년 657개, 1996년 1,372개로 급증하기 시작하여 2019년 9,668개를 기록했다. 총 종업원 수는 2만 4,594명이다. 서울-강화 간의 국도가 군의 중앙을 지나 김포본동, 장기본동, 사우동과 양촌읍에서 인천 방면의 지방도와 연결된다.
특히 1975년 7월부터 서울 시내버스가 김포읍까지 연장 운행되기 시작하고, 1991년 구로공단역까지 운행하는 시내버스와 좌석버스가 신설·운행됨에 따라 통근·통학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기존국도가 4차선으로 확장되었고 올림픽 대로에서 연결되는 한강제방도로의 구간이 완공되어 이곳의 극심한 교통불편이 다소 해소되었다. 도로총길이 247,723km, 도로포장률 78.6%이다(2020).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경기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김포시의 산업과 교통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