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김이익

다른 표기 언어 金履翼 동의어 보숙, 輔叔, 유와, 牖窩, 간헌, 簡獻
요약 테이블
출생 1743(영조 19)
사망 1830(순조 30)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조선 후기의 문신.

노론에 속하는 안동김씨 명문출신으로 강원도관찰사·대사간 등의 지위에 올랐으며, 귀양을 가서 1802년(순조 2) 〈금강중용도가 金剛中庸圖歌〉라는 가사를 지었다. 본관은 안동. 자는 보숙(輔叔), 호는 유와(牖窩). 유행(由行)의 아들이다.

1785년(정조 9) 알성문과에 급제하여 정언이 되었다. 다음해 홍문관부교리가 되었으며 1787년 함경도 경원에 익종(翼宗)과 도조(度祖)를 기리는 비를 세울 것을 건의하여 받아들여졌다. 다음해 교리가 되어 영의정 김치인(金致仁)을 탄핵하다가 유배되었다. 그뒤 장령(掌令)·동부승지·대사성·대사간 등을 지냈으며, 1793년 안동부사가 되었다. 이때 형벌을 많이 내려 안동사람들의 소청에 따라 유배되었다.

이조참의·대사간·강화유수·강원도관찰사 등을 거쳐 1799년 진위겸 진향부사(陳慰兼進香副使)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800년 벽파가 득세할 때 시파로 지목되어 유배되었다. 그뒤 안동김씨가 집권하자 공조판서와 병조판서를 지냈고, 수원부유수·대사헌·형조판서·한성부판윤 등을 지냈다.

1812년 대호군으로 있을 때 세상을 올바르게 다스리는 길을 주장했는데, 이에 대해 비난이 쏟아지자 벼슬을 그만두고 물러나서 봉조하(奉朝賀:조선시대 종2품 이상의 퇴임관리를 대우하여 내린 칭호로, 종신토록 그 품계에 알맞는 녹을 받게 했음)를 받았다. 시호는 간헌(簡獻)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김이익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