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김신실

다른 표기 언어 金信實
요약 테이블
출생 1899. 3. 25, 서울
사망 1993. 11.17, 서울
국적 한국

요약 한국 최초의 여성 체육전문가.

국내에서 영신소학교를 졸업하고 14세 때 하와이로 이주, 이승만 박사가 교장으로 있던 한국기독교학교에서 6년 동안 공부했다. 그 뒤 미국 오하이오 주 오버린(Oberlin)에서 고등학교를 마쳤고, 오버린대학 체육학과, 미시간대학 대학원을 졸업했다. 1930년 이화여자대학교의 전신인 이화여전에 교수로 부임하여 한국 전통을 살리는 운동을 전개하는 한편 다채로운 운동경기를 소개·보급시켰다.

당시 처음 소개된 운동으로는 6인제 여자 농구와 여자 연식야구, 배드민턴·포크댄스·현대무용·필드하키·기계체조·크리켓·등산·탁구·펜싱·수영 등이 있다. 또한 처음으로 여러 가지의 응원복을 입고 응원가를 부르는 응원도 시작했다.

체육과 주임으로 있던 1938년 총독부 학무국에 의해 신사참배와 창씨개명령이 내려지자 이를 거부해 1939년 9월 학교를 떠났다. 이때 중앙여자고등학교의 박순천 등이 교직을 떠났다. 8·15해방 이후 복직되어 1955년까지 이화여대 교수 겸 체육학부 부장을 역임했고, 1961년에는 같은 학교에서 명예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같은해 정년퇴직했으나 1975년 까지 강사로 출강했다.

특히 사회 및 단체활동에서 두드러진 활약을 보였는데, 1930~60년 대한여자기독교청년회연합회(YWCA)연합위원과 학생부 위원장, 국제친선부 위원장·부회장을 역임했고, 동연합회 회장·위원장을 거친 후 명예 연합회원으로 활동했다. 그외에 대한적십자사 사무총장(1954~60)·부총재(1962~71)를 역임했고, 대한여성체육학회 회장(1948~58), 대한올림픽위원회 이사 및 위원(1954~56, 1964~67), 한국여성단체협의회 부회장(1964~73), 대한가족계획협회 부회장(1971~75) 등을 역임했다.

한편 대한민국문화표창상(1962)을 비롯하여 대한민국국민훈장 동백장, 한국 걸스카우트연맹 공로상(25주년), YWCA 공로표창(50주년), 여성체육공로자 표창장(1972), 대한적십자사 적십자인도(금)장(1976) 등을 받기도 했다. 한국여성체육학회 설립의 주춧돌 구실을 했으며 여성 체육지도자 양성과 프로그램 제공 등 여성 체육의 저변 확대와 보급에 기여한 바 크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김신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