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김만겸

다른 표기 언어 金萬謙
요약 테이블
출생 1896(건양 1)
사망 미상
국적 한국

요약 사회주의 운동가.

이르쿠츠크파의 거두로 대한국민의회와 코르뷰로에서 활동했다. 20세에 블라디보스토크 도시학교를 졸업하고, 1906년 봄 조선인 혁명조직 창설에 가담하면서 사회주의 운동을 시작했다. 그해말 국내에 들어와 조국의 현실을 체험한 뒤 블라디보스토크로 돌아가 조선인 학교를 세웠다.

1910년부터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에서 국민학교를 운영했고, 1911년 신한촌 '한인민회'의 부회장을 지냈다. 그 뒤 신문 〈먼 변경〉의 편집동인으로 있으면서 1911년부터 서울특파원이 되어 일제 통치정책의 본질을 폭로하는 기사를 썼다가 추방되었다. 1914년부터 1917년까지 국경대표부에서 한국어 통역원으로 일했다.

러시아 2월혁명 뒤 조선인 대회에 참가했으며, 이후 한국어로 된 지방신문의 편집을 담당했다. 1919년 2월 '전로한인회중앙총회'가 '대한국민의회'로 개칭되면서 부의장을 맡았고, 3·1운동 뒤 신한촌에 조직된 '독립단'의 부단장을 지냈다. 1920년초 상해에서 이동휘와 함께 고려공산당을 조직했으나, 여운형 등과 더불어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에 가담하여 중앙위원이 되었다.

1921년 7월경 이르쿠츠크 고려공산당 상해 지부가 조직되자 책임비서가 되었다. 이때 안병찬과 함께 '사회주의연구소'를 경영하면서 공산청년동맹을 후원했다. 고려공산당이 해체된 뒤, 1922년 12월 코르뷰로 위원을 지냈다. 이후 코민테른 제4차 대회의 조선문제위원회에서 일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사회운동가

사회운동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김만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